농협, 시대변화 대응…역할 재정립·확대를

농정연구센터, 월례세미나

2025-04-29     이한태 기자

[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농협은 기후위기, 농촌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첨단기술의 발전 등 변화에 대응해 농업협동조합으로서 역할의 재정립과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정연구센터는 지난달 25일 서울 서초구 농수축산신문 회의실에서 ‘변화한 여건과 우리 농협의 미래’를 주제로 제366회 월례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김기태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1970년대 이후 변화된 농업·농촌의 여건과 농협의 모습을 비교하며 농업인 조합원의 농협 이용비율 감소에 따른 역할 재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경제사업의 낮은 경영건전성과 40세 미만 조합원의 판매사업 이용비율이 18.5%에 불과한 상황 등은 더 이상 판매협동조합이라 부르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신용사업 역시 준조합원 이용자가 조합원 이용자의 10배에 달하며 상호금융 관련 조합원 기여율은 10%가 채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에 김 이사장은 농협의 새로운 발전 비전으로 지역종합협동조합이 될 것을 주문했다. 농업인 조합원에 대해 조합사업 이용 의무를 부여하고 예비조합원에 대해 거래실적 등을 통해 조합원 가입을 허용하는 등 실제 농협 이용자가 농협의 조합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회서비스사업을 활성화해 경제사업의 악순환 구조를 정리하고 농협이 농촌지역에서 통합돌봄 허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사업과 관련해서는 지역조합 경제사업을 시·군 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 이관해 정책의 결합력을 높이며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추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그동안 농협은 경제사업 활성화가 강조됐지만 농협의 사업구조 개편 이후 농업인 고령화와 맞물려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며 “지역농협의 미흡했던 경제사업은 시·군 단위로 묶고 인적 사회서비스는 실수요자에 가깝게 면 단위로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농협의 개혁은 농협 스스로의 개혁 의지와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농협이 금융부문에서 많은 특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사업 활성화를 비롯해 그동안 요구받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던 원인은 농협 스스로에게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책임을 질 시점이 됐다는 것이다.

황의식 GSnJ 인스티튜트 원장은 “농협의 미래를 위한 개혁이 그간의 미흡했던 부분에 대한 도피 수단이 돼선 안 된다”며 “농협이 자기 개혁의 동력을 만들고 스스로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내부적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세욱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도 “농협 신경분리 당시 엄청난 국고가 투입되고 많은 혜택이 주어진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며 “어려운 사업 여건에도 불구하고 농협보다 열악한 여건의 중소기업이 선전하는 이유는 스스로 역량을 키워나갔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