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경영, 모두와 함께] ⑤전북 무주 무풍 선도산림경영단지를 가다
임도 확충·낙엽송·천마 ‘무진장한’ 가능성 엿보다 임도 없이 채산성 있는 산림경영 어려워 2030년까지 임도 8.8Km 연장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호남의 지붕, 진안고원의 ‘무진장’ 중 ‘무’를 담당하는 무주군. 과연 무주군은 2021년 기준 총면적 6만3176ha 중 산림면적이 5만1238ha로 81%를 차지하고 해발고도도 200~1600m로 높아 전북의 알프스라고 빗대여지기도 한다. 그만큼 사유림 경영의 잠재력도 높게 평가받는 지역으로 무풍면에 위치한 선도산림경영단지는 잠재력의 중심에 있다.
무주군산림조합(이하 무주조합)과 무풍 선도산림경영단지(이하 무풍단지)를 방문해 ‘무진장한’ 사유림경영의 가능성을 살펴봤다.
# 임도 개설로 사유림 경영의 발판을
무풍단지가 위치한 무주 무풍면은 덕유산국립공원과 같은 국공유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무주군의 다른 읍면과 달리 사유림이 집중적으로 모여있어 선도산림경영단지를 통한 집체적인 사유림 경영의 모델이 자리잡기 알맞다는 평가다.
박철수 무주군산림조합 조합장은 “산림경영을 통해 소득을 올리고 숲을 이루는 건 단기간에 이룰 수 없지만 미래 환경과 자산을 생각하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잠재력을 꽃 피우기 위해선 지금 우리가 산림경영과 임업에 대한 가치를 부각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무풍단지의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무풍단지는 559ha 규모로 81명의 산주들이 참여하고 있다. 2021년 사업에 착수해 올해 5년 차로 반환점을 돌고 있다.
지난 4년 동안 무주조합이 특별히 중시한 사업은 임도 개설이다. 고령화된 임업 인구, 국내 여느 산림보다 경사지고 울창한 숲이라는 조건 속에서 임도가 없으면 채산성 있는 산림경영을 하기 어렵건만 시업을 시작할 때 임도밀도는 ha당 2.88m로 2020년 기준 국내 평균 임도밀도인 3.64m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박 조합장은 “이제 산촌과 임업인구는 고령화됐기 때문에 임도가 있어야 산에 들어갈 수 있다”며 “지금은 임도가 산 능선으로 연결됐지만 깊은 골짜기 하단까지 쭉 들어갔다 나올 수 있는 임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성우 무주조합 선도산림경영과장도 “임도가 없으면 임업 비용이 높아지니 개발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고 병해충이 발생해도 산세가 깊고 험하면 알고도 어쩔 수 없이 손을 놔버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사업 시행 전 산주와 지역주민들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산림경영을 지속적으로 이뤄 건강한 산림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92%가 동의했지만 산림경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노력에 비해 수익이 낮다’는 항목이 39%, ‘기계, 장비 접근이 가능한 진입로가 없다’가 38%로 1·2위를 차지했다.
이에 무주조합과 무풍단지 운영협의회는 사업을 시작하면서 임도 개설에 힘써 지난해까지 임도밀도를 4.11m로 연장, 국내 평균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2030년까지 무주군 임도사업 예산까지 연계해 임도 8.8km까지 연장할 계획으로 실현된다면 무풍단지의 임도밀도는 ha당 17.6m로 크게 높아진다. 다만 송과장은 예산 제약으로 산주와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 낙엽송과 천마로 산림경영지도원과 함께 무주의 산을 보물산으로
무풍단지의 주력 경제수종은 낙엽송이고 특화임산물은 천마다.
박 조합장은 “지역마다 최고의 경제수가 다를 수 있지만 무풍단지는 낙엽송 최고 적지로 부가가치가 높은 낙엽송 단지를 조성해 목재 생산을 통한 산주 고소득 창출이 가능하다”고 자부했으며 송 과장도 “금액적으로 봐도 다른 임목보다 최대 6배까지 받을 수 있고 벌기령도 알맞아 생산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천마도 무주를 대표하는 임산물로서 임업인과 무주조합의 협업 아래 순조롭게 생산·유통되고 있다. 무주조합은 천마 관련 연구·생산 기반 시설을 가공공장, 연구센터, 종균배양센터 등 8개소를 운영하면서 천마 재배 임업인들을 뒤에서 지원하고 있다.
송 과장은 “기본적으로 산림경영지도원이 선도단지 업무에 대한 이해도와 접근성이 훨씬 높아 선도단지 업무를 전담하는게 맞다”며 “지금 풀어야 할 과제는 생산한 임산물의 가격협상 문제로 지자체나 산림조합이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지만 고령화된 임산농가를 위해 중간유통비를 최소화하고 판매자 희망 가격과 소비자 희망 가격을 좁히기 위해 산림교육원에 요청해 교육을 하고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