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과원, 염소 분만 전후 관리
새끼 염소 질병 예방·대응 요령도 제시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염소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새끼 생존율과 번식 효율에 큰 영향을 주는 분만 전후 관리와 새끼 염소(자축) 질병 예방·대응 요령이 제시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강원·경상·전라·충청 지역 대규모 염소농장 5곳의 분변시료 160건을 분석해 자축의 설사·호흡기 질병 발생 원인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소화기 질환 주요 원인은 대장균(38.1%), 클로스트리듐(36.3%), 로타바이러스(5.1%)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시료에서 원충성 질환으로는 콕시듐(35.1%), 크립토스포리듐(21.9%), 지알디아(8.8%)가 검출됐다.
호흡기 질환 주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비강 시료 63건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파스튜렐라(6.3%), 맨하이머(1.6%) 순으로 나타났다.
축과원은 다양한 병원체가 자축의 소화기·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생존율을 위협하는 만큼 예방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축과원에 따르면 분만 6주 전부터 고에너지·고단백 사료를 공급해 태아 성장과 초유 품질을 높이고 셀레늄·비타민E 둥 미네랄을 보충해 산후 질환을 예방해야 한다.
분만 예정 염소는 청결한 개별 분만실에서 사육하고 태어난 새끼는 호흡 상태를 확인한 뒤 배꼽을 소독해 감염을 막는다. 출생 후 1시간 이내에 체중의 10% 이상 초유를 먹여야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
분만 후에는 깨끗한 물과 사료를 공급하고 태반이 24시간 내 배출되는지 확인한다.
새끼 체온은 38~39도로 유지하고 1주일 내 철분·셀레늄 보충제를 투여하며 2주령부터는 점차 고형 사료를 공급한다. 축사 바닥은 건조·청결하게 유지하고 젖은 깔짚은 수시로 교체한다.
대규모 농장의 경우 외부 병원체 유입을 막는 차단방역을 필수적으로 실시한다. 축사 출입 시 전용 장화와 작업복을 착용하고 출입구 소독조를 상시 관리해야 한다. 또한 구제역 예방을 위해 정기 백신 접종과 외부 가축 도입 시 사전 질병 검진, 격리 사육을 통해 건강 이상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강석진 축과원 가축질병방역과장은 “염소 사육 규모가 커지면서 다양한 질병 발생 위험이 늘고 있다”며 “체계적인 사육 관리와 철저한 방역이 농가 생산성과 직결되므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