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 농특위 위원장 “3농 정책 컨트롤타워로서 현장-정책 가교 역할할 것”

농업 전문지 기자간담회 개최 지방소멸 대응 타부서와 연계 식량주권·식량안보 강화 계획

2025-09-16     이문예 기자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가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서 이재명 정부의 농어업 정책 철학을 구현하고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일궈나가는 데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18일 취임한 김호 신임 농특위원장은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농특위 사무실에서 농업 전문지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의 내용을 간략히 중계한다.

# 정부 농정과제 실현 위한 역할 강조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를 중심으로 3농 정책의 컨트롤타워로서 적극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겠습니다. 또한 대통령실을 포함한 정부 부처 간 정책 조율, 정책 사각지대 해소, 중장기 로드맵과 국가 비전 수립을 위해 함께 하겠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자신의 철학, 방향성과도 분명히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30년간 학자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현장 경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단국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한국유기농업학회장, 한국농식품정책학회장, 충남 3농혁신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충남3농혁신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여러 차례 소통을 강조한 김 위원장은 이날도 기자들의 질문을 중심으로 간담회를 풀어갔다. 가장 먼저 농특위의 역할과 위상 재정립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충남3농혁신위원장으로서의 경험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농특위는 설립 단계부터 거버넌스 기구로 출발했다”며 “과거에 거버넌스 기구인 충남3농혁신위원회에서 4년 동안 위원장을 맡아 효율적 운영을 해본 경험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을 구상해 집행기구에 건의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그 과정에서 농업인의 요구사항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3농 발전을 위해서라면 누구라도 만나 교류하겠다”고 덧붙였다.

# 타 부처와 협력 강화, 다양한 정책 제시

김 위원장은 타 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연구용역 과제에 대해서도 직접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방소멸 대응은 행정안전부, 환경 문제는 환경부, 농촌 복지는 보건복지부 등과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구상 중”이라며 “농특위는 정책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연구용역을 많이 수행하는 만큼 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직접 챙겨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새정부가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한 배경에는 농업이 안보산업이라는 관점이 녹아 있다”며 “농특위도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고 식량주권과 식량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찾아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