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해양쓰레기 전용수거선 부재…국비확보 지연에 대응력 한계
매년 1만8000톤 발생 5000톤 이상 수거 공백 지속 전국 상위권 수산물 생산지 하지만 해양쓰레기 관리체계 불균형 뚜렷 수산업‧환경‧지역경제 위협 정부차원 지원 절실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의 해양쓰레기 전용수거선 건조 사업이 국비 확보 지연으로 답보 상태에 놓여 실질적 대응 역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충남 해역에서는 매년 약 1만8000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지만 실제 수거량은 1만3000톤에 그쳐 5000톤 이상이 수거되지 못한 채 해역에 방치되고 있다. 여름철 집중호우 이후 육상에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가 급증하면서 수거 공백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타 시도와 비교하면 뚜렷하다. 전국에서 수산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전남은 수거선 5척과 운반선 1척 등 총 6척을 확보했고, 경남도 수거선 2척과 운반선 2척을 운영한다. 부산·인천·경기·전북·경북도 각각 1척의 전용수거선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충남은 운반선 1척에 의존해 전용수거선 공백 상태다.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수산물 생산량을 기록하며 어업 규모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충남의 위상을 감안하면 전국 해양쓰레기 관리체계의 불균형이 뚜렷하다.
충남은 단순히 수산물 생산량만 많은 것이 아니다. 도내에는 전국 조미김 가공업체 119개소 중 40%에 달하는 47개소가 몰려 있으며 지난해 기준 수산식품 수출실적은 1억1063만 달러(약 162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충남도 전체 수산식품 수출의 절반 이상으로 16년간 도내 1위 수출 기록을 이어온 성과다.
수산식품 산업을 선도하는 충남의 바다가 해양쓰레기로 오염된다면 산업 경쟁력과 지역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지만 전용수거선이 없어 민간업체와 해양환경공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충남도는 올해도 기획재정부에 기본설계비 5억 원 반영을 건의했으나 최종 정부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매년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건의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실현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현장의 어려움은 누적되고 있는 것이다.
해양쓰레기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다. 수산자원 감소, 유령어업, 선박사고 위험 등 수산업과 어업 활동에 직접 피해를 끼치며 장기적으로는 연안 갯벌과 해양생태계를 훼손해 농어촌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 충남 서해안은 갯벌과 도서 지역이 많아 해양쓰레기 집중 발생 구역으로 꼽히는 만큼 체계적인 관리가 절실하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은 해안선 1242㎞와 357㎢의 갯벌을 보유한 수산자원 중심지로 전용수거선 건조는 단순한 장비 확보가 아니라 수산업·관광·환경을 아우르는 핵심 인프라다. 수산식품 수출을 선도하는 충남의 바다가 해양쓰레기로 흔들린다면 이는 곧 대한민국 수산업 전체의 기반을 위협하는 일”이라며 “국비 지원이 뒷받침돼야 해양쓰레기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지속가능한 수산업 기반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전용수거선 건조 지원은 충남만의 과제가 아니라 국가 해양환경 관리체계 보완을 위한 당면 과제라는 점에서 정부의 결단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