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상호금융 부실 심각, 특단의 대책 서둘러야
[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어촌의 대표적인 금융기관이자 지역경제 순환을 유지하는 생태계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농협, 수협, 산림조합 상호금융의 부실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어촌의 인구감소가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특단의 대책이 서둘러 강구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김선교·송옥주 의원 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의 농협, 수협, 산림조합 중 적자를 기록한 조합 수는 2021년 25개소에서 2025년 222개소로 불과 5년 사이 8.8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기간 상호금융의 연체율도 급증, 재무건정성이 심각하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2021년 전체 연체율은 1.34%였지만 2025년 들어 6.88%로 5배나 증가했다. 특히 수협의 연체율이 2021년 1.64%에서 2025년 8.11%로 가장 심각했고, 산림조합은 1.50%에서 7.46%로, 농협도 0.88%에서 5.07%까지 증가하며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지역농협 공동대출 연체율이 담보물에 따라 최고 30%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들 농협은 동일인 대출한도 50억 원 규제를 피해 대주단을 구성, 수백억원대의 대출을 무리하게 내준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의 상업시설 담보 공동대출 연체율은 2021년 1.31%에 그쳤으나 2023년 12.39%, 2024년 20.78%로 늘어나더니 8월 말 현재 28.43%로 치솟았다. 경제위기에 버금가는 연체사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조합의 경영 전문성과 운영 구조 등을 감안할 때 이같은 상호금융의 부실은 사실 예견된 일이나 다름없다. 더욱이 농어촌 인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만큼 상호금융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은 더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상호금융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부실채권과 연체관리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또한 건정성 도모 차원에서 이자수익 외에 수수료, 투자운용 등 비이자수익 부문을 적극 개발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단순한 여신 기능을 넘어 혁신 생태계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는 등 새로운 변화에도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