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인구위기 대응 ‘통합 복지체계’ 모색
세대가 연결된 지속가능한 복지, 지역공동체 회복의 동력으로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의회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복지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세대 간 연계 중심의 ‘통합 복지체계’ 구축 방향을 모색했다.
도의회는 31일 당진농협 3층 대회의실에서 ‘복지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당진시 미래복지 정책 수립을 위한 의정토론회’를 열고, 지역 맞춤형 복지정책 수립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저출생과 고령화, 돌봄 인력 부족 등 복합적인 인구문제가 지역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행정·시민사회·세대별 주체가 함께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복지 모델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좌장은 충남도의회 이철수 의원(국민의힘, 당진1)이 맡았으며, 충남도사회서비스원 오정아 연구위원이 ‘복지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당진시 인구정책 수립’을 주제로 발표했다.
오 연구위원은 “복지서비스를 연령대별로 분리해 운영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통합 관리와 세대별 맞춤형 정책이 동시에 작동하는 지역 복지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열린 토론에는 대한노인회 당진시지회 편명희 부회장, 당진시개발위원회 신완순 위원장, 당진시여성단체협의회 정미정 부회장, 당진청년회의소 오준수 회장, 충남도 복지보훈정책과 정명옥 과장, 인구정책과 조원태 과장 등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농촌과 도시 모두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맞물리며 복지 수요는 늘고 있지만 행정은 여전히 분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복지·보건·일자리·돌봄이 통합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철수 의원은 “이제 복지는 한 세대나 특정 계층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세대가 연결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 돼야 한다”며 “노인·청년·여성·행정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형 복지 패러다임 전환이 충남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지역복지 체계의 핵심은 사람과 관계를 잇는 데 있다”며 “지역이 스스로 돌보고 지탱할 수 있는 복지 구조를 만드는 것이 곧 농촌과 도시가 함께 지속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