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고기 과학조사 어획한도 1.5배 이상 늘어
남극해양생물보존위원회 총회서 우리나라 준법 조업국 인정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우리나라의 이빨고기 과학조사 어획한도가1.5배 이상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20~31일 호주 호바트에서 열린 남극해양생물보존위원회(CCAMLR) 제44차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준법 조업국으로 위상을 확고히 했으며 그간의 기여를 인정받아 이빨고기 과학조사 어획한도도 늘었다고 밝혔다.
CCAMLR는 남극 조약에 따라 남극의 해양생물 자원보존과 합리적 이용을 위해 설립된 기구로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에서 각국의 어업규범 이행점검 결과 주요 조업국 중 유일하게 지적사항 없는 100% 규범 이행국가로서 인정받았다. 우리나라는 CCAMLR 수역에서 수산물의 전재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제안서를 제출했다. 27개 회원국이 참여하는 CCAMLR는 만장일치제로 운영되고 있어 신규 제안서가 채택되기 매우 어려운 구조이지만 우리 정부의 노력과 적극적인 설득을 통해 우리 제안서가 유일하게 채택되는 성과를 이뤄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과학조사를 수행하는 수역의 이빨고기 어획 한도도 그간의 지속적인 조사 활동과 성실한 이행 노력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돼 지난해 전년도 292톤에서 올해 438톤으로146톤 증가됐다.
한편 이번 총회에서는 김정례 해수부 사무관이 총회 부의장으로 선출됐으며 지난해 과학위원회 제2부의장으로 선출됐던 정상덕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는 제1부의장으로 승격됐다. 이에 따라 총9인의 CCAMLR 의장단 중 우리나라가 2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이번 총회에서 우리 제안서가 유일하게 채택되고 우리나라 대표가 총회와 과학위원회 부의장에 동시 선출된 것은 한국이 주요 국제 수산관리기구에서 규범을 선도하며 국제사회에서 모범이 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업계, 학계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한편 국제어업 분야에서 국익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