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농림·환경·관광·소방 전 분야 점검

충남도의회, “행정의 소극 대응, 도민 피해로 이어진다” 정광섭 의원 “재선충·도유림 규제·안면도 관광 등 현안 해결 촉구” 건소위, 천안 이랜드물류센터 대형화재 현장 긴급 점검

2025-11-20     박나라 기자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의회가 지역 현안 전반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요구하며 ‘현장 중심 의정’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19일 이어진 상임위 활동에서는 재선충 확산, 도유림 국립공원 규제, 안면도 관광 인프라 정체, 천안 이랜드물류센터 대형 화재 등 도민 삶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도의회는 “행정의 소극적 태도가 반복되면 피해는 결국 도민에게 돌아간다”며 강도 높은 개선을 주문했다.

정광섭 의원(태안2·국민의힘)은 행정사무감사에서 태안 지역에 심각하게 확산 중인 소나무재선충 문제를 첫 과제로 지목했다.

정 의원은 “지금 태안 길가를 지나면 가을 단풍처럼 보일 정도로 고사목이 늘어섰다”며 “이는 단풍이 아니라 재선충 피해이며, 방치 시 산불 위험까지 커진다”고 우려했다.

특히 11월이 방제 최적기임에도 예산 부족으로 작업이 지연되는 현실을 비판하며 “15개 시군 중 피해 심각 지역에는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긴급 제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일부 시군이 여전히 효과가 떨어지는 단기제 방제약을 사용하는 점을 지적하며 “반복된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장기제 중심으로 전면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또 도유림이 국립공원으로 묶이면서 사유지가 함께 규제를 받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도유림 내부 사유지가 ‘끼워넣기식 편입’으로 전면 규제에 묶여 집도 못 짓고 개발도 못 한다”며 “주민들의 재산 가치가 급락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유림 자체 규제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사유지까지 동일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충남도와 환경부 간 신속한 협의를 통한 제척 조치를 요구했다.

지역 관광 활성화의 핵심 과제로 꼽히는 안면도 모노레일 사업과 관련해서도 적극적 대책을 요구했다.

그는 “안면도 개발이 30년째 제자리걸음인 이유는 공공까지 ‘수익성 논리’에 갇혀 있기 때문”이라며 “대기업도 수익성이 없어 뛰어들지 않는 사업을 공공이 수익성만 보고 포기한다면 지역 관광은 영원히 살아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6 국제치유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안면도 지방정원과 수목원을 잇는 교통 인프라는 필수라며 충남도의 관심과 지원을 거듭 촉구했다.

이와 함께 충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는 19일 천안 이랜드패션물류센터 대형 화재 현장을 긴급 방문해 현황을 점검했다.

화재는 지난 15일 오전 6시 8분 발생해 건물 전층으로 확대됐으며, 17일 오후에야 완전 진화됐다.

강종범 천안동남소방서장은 자동화재탐지설비 경보 직후 119 신고가 이뤄졌고, 급격한 연소 확산으로 대응 2단계까지 격상해 대규모 진압이 이뤄졌다고 보고했다. 진화 과정에서는 건물 일부가 붕괴되고 의류·신발 등 대량 적재물로 인해 불길이 빠르게 번져 진화에 어려움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들은 화재 원인 규명과 함께 대형물류창고의 구조적 취약성에 대한 사전 점검 강화, 예방 중심의 소방 관리 체계 확립을 주문했다.

고광철 위원장(국민의힘, 공주1)은 “가장 우려했던 것은 인명 피해 여부였는데, 붕괴 위험 속에서도 단 한 건의 인명 피해 없이 진압한 소방대원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며 헌신을 치하했다.

충남도의회는 이번 일련의 점검과 질의를 통해 재난 예방, 재산권 보호, 관광 회복, 주민 안전 등 도정 전반에서 놓칠 수 없는 핵심 과제들을 확인했다.

도의회는 “도민 삶과 직결된 문제는 행정의 선제 대응이 필수”라며 책임 있는 정책 추진과 실효적 현안 해결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