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l 인터뷰]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

산림 경영 주체와 소통…탄소흡수원 확충·스마트 재난 대응체계 구축할 것 환경·산림 데이터 통합 정책 간 구조적 연계 기반 구축 산림 보전·개선과 탄소흡수원 확충에 집중 올해 산림 탄소흡수량 220만 톤까지 끌어올려

2025-11-25     박나라 기자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가 민선8기 후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환경·산림정책을 하나의 축으로 통합한 지 1년 3개월이 지났다. 지난해 신설된 환경산림국은 기후위기 대응, 산림자원 관리, 물관리, 탄소중립, 산림재해 예방 등 긴밀히 연결된 정책들을 하나의 구조에서 통합 운영하며 도정의 실행력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영명 환경산림국장을 만나 조직 전환 이후의 변화, 탄소중립 전략, 미래 산림정책, 지천댐 공론화, 지속가능성 원칙 등 충남 환경·산림정책의 방향을 짚어봤다.

 

# 환경산림국 출범 1년 3개월이 지났다. 조직 통합의 의미와 가장 큰 성과는.

“환경과 산림은 기후위기 시대에는 하나의 흐름으로 움직여야 한다. 탄소중립, 산불재난 대응, 산림복지, 폐기물·대기관리 같은 정책들은 각자 따로 추진될 수 없는 만큼 상호 연결될 때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난 1년 3개월 동안 환경·산림 데이터를 통합하고 정책 간 구조적 연계를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 특히 산림 보전·개선과 탄소흡수원 확충에 집중해 올해 산림 탄소흡수량을 220만 톤까지 끌어올렸다. 친환경 복구기준 강화, 산림 기반 산업화 방안 마련도 병행해 추진하며 통합 조직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한다.”

 

# 충남 2045 탄소중립 실현과 관련해 핵심적으로 추진해온 정책과 충남의 역할은.

“충남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은 단순히 배출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산업·사회구조 전반의 체질을 바꾸는 데 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2035년 산업용 전력의 9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이다. 산업 분야는 저탄소 공정·업종 전환,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석탄화력 폐지지역 지원 특별법 기반의 정의로운 전환 등을 추진하고 있다. 생활 부문에서는 1회용품 사용금지 확대, 탄소중립 실천단 운영 등 생활 속 감축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충남도는 COP30 지역지도자 포럼을 통해 산업전환·기후테크 협력·기후정의 실현 등 국제 의제에 지방정부 관점을 적극 제시하며, 충남의 역할을 확대했다.“

 

# 충남형 미래 산림전략(2026~2045)의 핵심 방향과 미래는.

“충남형 미래 산림전략은 앞으로 20년 충남 산림정책의 근간이 될 계획이다. 기후대응·경제·휴양·안전 4대 전략을 중심으로 탄소흡수원 확충, 경제림 육성, 도민 산림복지 강화, 산불·산사태 재난 대응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밤산업박람회 추진, 국립밤연구센터 유치 노력, 산림치유·레포츠·정원산업 확대, 스마트 재난 대응체계 구축 등이 포함돼 있다. 전략의 성공의 핵심은 산림경영 주체와의 소통과 참여 확보에 있다. 앞으로 산림이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의 핵심 자원이 되도록 세부 전략을 충실히 이행하겠다.”

 

# 환경산림국에서 가장 우선순위를 두는 과제와 도민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탄소중립 기반 구축, 산림재해 대응력 강화, 산림전략의 확실한 실행, 도민 체감형 산림·환경복지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환경·산림 데이터를 통합하고 정책 간 구조적 연계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