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내성 소´ 실용화 공동연구 착수

2005-07-25     김진삼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의 광우병 내성 소 연구팀과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가 공동으로 `광우병 내성 소'' 실용화를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황 교수는 이를 위해 지난 21일 축산연구소에서 박홍수 농림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광우병 내성 소 유전형질을 가진 수정란을 4마리의 최우량 한우 암소에 인공수정시켰다. 이 수정란은 일반 소 난자의 핵을 제거한 다음 광우병 내성 소의 핵을 이식해 만들어졌다.

황 교수는 이날 “이번 수정란은 2003년 11월 탄생한 광우병 내성 소 4마리와는 다른 새로운 첨단기법으로 유전자를 만들었다”며 “구체적인 기술은 추후 논문을 통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교수는 특히 “처음으로 생산한 광우병 내성 소 한마리가 일본 쓰쿠바 동물고도위생실험실로 옮겨져 실험을 진행중에 있다”며 “일본 정부가 광우병 출현으로 입은 직간접의 피해를 4조50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는 만큼 광우병 내성 소가 실용화되면 그 이상의 수익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는 또 “대학이 보유한 인력과 현장 경험은 한계가 있어 축산기술 분야의 현장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축산연구소와 협력은 광우병 내성 소의 실용화 추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연구기간은 송아지 광우병 내성 검증 등 4~5년 정도 소요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홍수 농림부 장관은 이번 광우병 내성 소 연구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표명하고 과거의 소 사육경험을 살려 황 교수의 인공수정 시술에 참여해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