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방역의식 고삐 늦춰서는 안된다
2006-05-29 김영민
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이 5월로 만료돼도 방역의식의 고삐를 늦춰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지난 25일 개최한 구제역분과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은 “지난 4년간 국내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국경검역과 국내방역이 효율적으로 이뤄졌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구제역 청정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방역의식으로 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순재 위원장(건국대학교 교수)은 “현재 국내 구제역 유입이 우려되는 가장 위험한 국가는 중국이다”며 “중국을 통해 국내에 입국하는 여행자나 수화물에 대한 더욱 철저한 국경검역을 전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수환 위원(경북대학교 교수)도 “최근 중국의 돼지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고돈가를 유지하는 국내에 불법 유통될 우려가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한 검사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날 위원들은 우리나라 주변국의 구제역 발생현황에 맞춰 국내 구제역 대비상황도 재정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옥경 위원(충북대학교 교수)은 “우리나라 주변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구제역의 유형이 과거 O형과 달리 Asia1형으로 확인됨에 따라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O형 위주의 항원뱅크를 현재 추세에 맞게 재검토할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