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수산물 유통 어떻게 변화하는가···1>중국 (1)중국 수산업 현황  

2007-01-08     신성아
국내 수산물 생산량은 계속 줄어들고 있어도 세계 수산물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중국은 양식생산 뿐만 아니라 해면 및 내수면 생산량도 해마다 증가하면서 수산물 생산량 1위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으며 한때 수산물 최대 소비국이던 일본은 지난 15년간 경기침체와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수산물 수요가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현재 국내 수산물 유통시장은 변화의 폭이 큰 유통의 흐름을 잡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으며 오히려 유통의 투명화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처럼 유통시장의 발 빠른 변화 속에서 국내 수산물 유통 현황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어업활동과 경쟁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수산업 현황과 이들 나라의 수산물 소비촉진 방안은 무엇인지도 함께 살펴본다.

#세계 수산업 동향은

1950년대 이후, 세계 어업 총 생산량은 매년 6~7%씩 증가해 왔으며 2002년 이후로는 줄곧 약 1억 3000만 톤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세계1인당 평균 수산물 점유량은 약 20kg을 기록했다.

1990년부터는 담수어류 비율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수산물의 양식 생산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현재 세계 수산물 양식 생산량 비율은 약 30%에 달한다.

세계 주요 수산물 생산국은 중국, 페루, 일본, 칠레,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한국, 필리핀 등이다.

이와 함께 중국 수산물 생산량은 계속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 지난해 총 생산량이 5100여만톤에 달해 세계 수산물 총 생산량의 40%를 차지했으며 세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양식 생산량은 세계 양식 총 생산량의 70%이상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양식 생산량이 어획 생산량을 초과하는 국가이다.

#중국 어업 어떻게 발전 했나

지난 20년 동안 중국 수산업은 빠른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수산물 총 생산량이 1990년 세계 1위를 차지한 후 지금까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수산물 총 생산량은 5100여 만 톤으로 1984년 708만 톤의 7.2배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어획량 1708만톤, 양식 생산량은 3393만톤을 초과해 양식 생산량이 수산물 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년 전 29%에서 67%로 상승했으며 세계 수산 양식 총 생산량의 70%를 차지했다.

지난해 중국 1인당 평균 수산물 점유량은 33.8kg에 달해 세계 1인당 평균 섭취량을 초과했지만 1인당 평균 섭취량은 적어서 13kg도 되지 않았다.

중국은 또 세계 제1의 수산물 수출 대국으로 무역량에서 수산물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수산물 수출입 총액은 120억1000만달러, 총량은 623만 톤을 기록했다.

그 중 수출은 78억9000만 달러, 257만톤이며 수입은 366만톤, 41억2000만달러이다.

#중국 수산업 현황은

1980년대 이후 중국은 어업경제체제와 가격체제를 개혁해 생산에 대한 어민들의 적극성을 고취시켜 어업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했으며 그 결과 수산물 생산량이 크게 증가해 1990년부터 십 여년 연속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어업의 발전은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켰을 뿐 아니라 수산물 수출을 확대시켰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어업경제 발전모델이 크게 바뀌기 시작했다.

즉, 과거에는 단순히 생산량 증가를 중시했지만 현재는 품질 및 효율 향상과 자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더욱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중국은 해양 어획량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 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해양어업 구조를 전략적으로 조정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수산업 총 생산량 증가율은 이같은 중국정부의 해양 어획량 제로 성장 목표나 어선 폐기시 보상 등의 정책을 통해 3~4%의 안정적인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중 양식 생산량 증가율은 크게 늘어났으며 어획 생산량은 기본적으로 1450만 톤을 유지하고 있어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5년 수산물 총 샌산량은 5100만 톤으로 전년보다 4% 증가했다.

그 중 해양 어획량은 1453만톤으로 전년보다 0.15%늘었다.

중국은 또 국가가 어장과 어업 기초시설 건설에 자금 투입을 늘리고 산업정책을 지원한 결과 전체적인 중국 어업 수준이 일정부분 향상되었고 시장 주도를 추진하고 제품구조와 생산방식 조정을 통한 품질 관리도 함께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