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주도 ‘한·아프리카포럼’ 출범
- KMI·KOICA, 수산업 협력위한 토론의 장 마련
민간주도의 한ㆍ아프리카 포럼이 출범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지난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ㆍ아프리카 수산포럼(KORAFF) 창립식을 개최<사진>하고 양 지역의 수산업 협력을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한ㆍ아프리카 수산포럼은 아프리카 연안국들과의 원조협력을 통해 국격을 제고하고 수산분야 해외진출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ORAFF 창립총회에서는 강석호 의원(한나라, 영양ㆍ영덕ㆍ봉화ㆍ울진)과 이정환 한국해양대학교 석좌교수, 돔베(A. Dombe) 주한 앙골라대사관 대리대사를 공동의장으로 선임하고 운영위원장에 김학소 KMI원장을, 사무국장에 홍현표 KMI연구위원을 선임했다.
또 이사로는 공동대표와 운영위원장을 포함해 임광수 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실장, 김영만 국립수산과학원 원장, 장경남 한국원양산업협회 회장, 심호진 한국어촌어항협회 회장, 베너만(P. Bannerman) 가나 수산청 수산연구소(AG Deputy) 소장, 두아테(A. D. Duarte) 앙골라 수산청(The Institute of the Artisanal and Aquaculture) 국장, 이상고 부경대학교 교수, 이해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이진상 고려대학교 교수 등 13인이 선임됐다.
KORAFF는 지난 8월 4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한ㆍ아프리카 수산전문가 심포지엄’을 통해 창립 토대를 마련했으며 이번 창립식과 함께 진행된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매년 양 지역에서 번갈아 개최될 예정이다.
김정봉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와 외교통상부는 아프리카국가와 장관급 포럼을 개최하고 있지만 KORAFF는 민간 주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해 경제협력사업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며 “현재 국내 관계자 외에 남아프리카공화국 공무원, 연구원, 업계관계자, 교민 등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 참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 민간 시민사회 주도로
“수산분야 경제협력은 정부주도를 벗어나 민간과 시민사회 주도로 진행돼야 한다.”
홍현표 KMI 글로벌수산연구실장은 이날 ‘한ㆍ아프리카 수산협력 방안과 경제적 효과’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홍 연구실장에 따르면 아프리카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을 위해서는 경제수준에 맞는, 수산업과 같은 1차 산업이 주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수산분야는 빈곤퇴치 등 새천년개발목표(MDGs) 달성을 위한 주요 수단이라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는 1966년 수산진흥계획, 1982년 수산자원조성, 1986년 농어촌종합대책, 1997년 수산물 수입 자유화, 1999년 수산진흥종합대책, 2002년 양식어업육성계획, 2005년 자원회복 등 다양한 발전과 어업 생산ㆍ가공 경험 등이 있어 이를 아프리카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와 함께 한ㆍ아프리카 수산협력을 △협력 네트워크 △자원ㆍ어업 관리 △인력 개발 및 기술 이전 △수산인프라 개발 △어촌지역 개발 △정책 및 정보 제공 등 6개 모델로 구분해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홍 연구실장은 “외교통상부에서는 한ㆍ아프리카 포럼을 통해 개발협력 기본 구상을 공표하고 기획재정부는 한ㆍ아프리카 장관급 경제협력 회의(KOAPEC)을 통해 아프리카와의 협력이 추진되고 있다”며 “하지만 정부 주도의 협력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민간 주도의 협력사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재원조달은 글로벌 기금 등 활용해야
KORAFF의 재원은 2차 대전 이후 빈곤ㆍ재해ㆍ환경 변화 등을 위해 마련된 글로벌 기금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카치스키(V. Kaczyski) 워싱턴 대학교 교수는 ‘한ㆍ아프리카 수산협력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주제로 국제개발은행, 국제통화기금, 국제정부원조기구, 비정부조직, 사적원조, UN 등을 통한 재원조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카치스키 교수는 “한국은 민간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해당지역의 빈곤, 실업, 문맹, 인프라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며 “한국어선의 아프리카 불법ㆍ비보고ㆍ비규제(IUU) 어업을 줄이고 수산관련 기업의 통합을 추진해 수산자원 양성과 재건에 도움이 돼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카치스키 교수는 또 “이를 통해 한국은 국제사회의 선진 원조 20개국 반열에 드는 등 국격이 제고되고 지역 사회와 한국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해질 것이며 아프리카의 사회ㆍ경제ㆍ정치적 동반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