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강한 밥상 지키기…신토불이 밥상이 답이다
‘안전한 먹거리’, ‘건강한 밥상’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네 밥상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농식품의 웰빙 트렌드에 따라 국민들이 친환경과 안전성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식재료를 찾는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유통채널은 로컬푸드를 대변하는 지역농협 직매장이나 제철 꾸러미 농산물, 생활협동조합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역 농산물의 소비촉진과 판로확대는 물론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농산물 공급이라는 새로운 유통문화를 앞세우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는 2016년까지 전국에 100개의 로컬푸드 매장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일반 대형마트들까지 로컬푸드 진입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정부 역시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로컬푸드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지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농가에게는 안정적 수취가격을 제공하고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소비를 유도해 나가고 있는 ‘생활협동조합’도 대한민국의 건강한 밥상을 지키는 유통채널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아이쿱생협, 한살림, 흙살림 등 생협 조합원은 지속적으로 늘어, 현재 100만명을 웃돌고 있다. 이들은 기업이윤을 추구하지 않고 농산물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을 해도 일정한 가격에 농산물을 공급, 생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하는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소비를 이끌어내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밥상’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올바른 식생활’에 대한 관심 역시 고조되고 있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성인병이 증가하고 음식물쓰레기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등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대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올바른 식생활은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하고 전통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식량자급률 제고에 대한 국민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탁명구 (사)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사무총장은 “안정적인 식량공급과 식량자급률 제고, 지산지소 등 올바른 식생활 관련 키워드는 모두 농업을 육성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며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농식품 트렌드로 대변되는 ‘대한민국 건강한 밥상 지키기’는 바로 ‘신토불이’에서 시작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