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강도가 강한 낙농업이 기반을 유지키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낙농 헬퍼 육성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는 최근 낙농경영에 있어 ‘노동의 연중구속성’에 따른 열악한 노동여건개선과 후계자부족문제를 해소키 위해 정부차원의 낙농헬퍼 육성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낙농정책연구소의 ‘2016 낙농경영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71.9%의 낙농가가 낙농헬퍼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월간 이용빈도는 1~2일이 67.7%로 가장 많았고, 5회 이상 이용농가도 11.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장경영에 참여하는 노동력은68.2%가 1~2명으로, 대부분이 부부노동 중심이며 목장주의 연령은 50대 이상이 74.3%에 달해 낙농가의 과중한 노동부담해소를 위한 낙농헬퍼의 육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낙농육우협회의 한 관계자는 “현재 낙농헬퍼 운용이 시간예약제로 이뤄지고 있는데 인력부족으로 긴급상황 발생 시에 헬퍼를 구하지 못하는 낙농가들이 많다”며 “불가피할 경우 기존 헬퍼보다 이용료가 비싼 사설헬퍼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 따라 헬퍼 사업 강화를 위해 강원도, 충북도 등 총 6개 지역에서 광역지자체사업으로 낙농헬퍼지원사업을 운영하며 낙농조합이나 생산자단체에게 낙농헬퍼의 인건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광역지자체사업의 한계성으로 인해 선진국과 같이 정부차원의 낙농헬퍼육성 및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여기에 낙농목장 중 후계자가 있는 목장은 36.8%로 후계자부족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향후 헬퍼 요원을 지역후계자로 양성해 직계후계자가 없는 목장을 승계토록 하는 제도적인 뒷받침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에 낙농정책연구소는 노동의 연중구속성 해소는 국제화에 직면한 낙농의 안정된 생산기반확립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낙농현안이며 낙농헬퍼제도의 조기정착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조석진 낙농정책연구소장은 “낙농헬퍼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해 우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낙농헬퍼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낙농헬퍼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체계적인 연수방안, 근로환경조성, 낙농헬퍼에 대한 정부지원책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