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3일 전북 익산 AI(조류인플루엔자) 방역지역 내 이동제한 해제를 마지막으로 전국에 내려졌던 이동제한 조치가 해제된지 채 한달도 안돼 또 AI가 발생했다. 지난 2일 제주에서 발생된 AI가 전북 군산, 익산, 전주, 완주, 임실에 이어 경남 울산, 양산, 기장 등으로 확산되면서 재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즉시 위기경보단계를 ‘심각’으로 상향 조정한데 이어 초기 방역활동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악몽이 되살아 나고 있다.

지난해 11월 16일 AI가 발생한 이후 6개월을 끌어오면서 해당 농가는 물론 경제, 사회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기간 동안 살처분된 가금류가 무려 3787만마리에 달했다. 가금류와 계란값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켰음은 물론이다.

이번의 경우도 AI발생 사흘만에 살처분 및 매몰된 가금마릿수는 17만여마리에 달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또 다시 발생한 AI가 두려울 수 밖에 없다. 특히 AI는 한번 발생하면 전파속도가 빠르고, 수평전파로 인해 피해지역도 광범위해 단기간에 닭 생산기반을 휩쓸고 지나간다. 차단방역밖에는 달리 할 수 있는 것도 없는 만큼 닭 생산농가들은 가슴만 졸이고 있는 실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08년 5월에도 AI가 발생한 전례를 들어 마지막 이동제한조치를 해제하면서 위기경보 단계를 현행 ‘경계’로 유지하고 전국단위 방역조치를 취하기로 했고, 농가들도 상시 방역에 집중한 만큼 더 이상의 확산은 없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번 AI가 체계적인 방역시스템을 갖추지 않는 오골계나 토종닭 등 소규모 농장에서 발생했다는 점도 한가닥 희망을 갖게 한다.

그러나 이제는 AI 상시발생을 전제로 한 방역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소독설비 구비의 의무화, 방역기준 준수 여부 및 축산법 시설기자재 구비여부 등을 점검하고, 철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간 AI예찰정보 공유체제 마련 및 네트워크 구축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

백신정책에 대한 입장도 분명히 해야 한다. 일본, 중국 등 이웃나라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고, 백신도입에 따른 유불리와 밀식사육에 따른 효과를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AI방역정책에 대한 실행이 뒷받침돼야 한다. 가금 사육농가, 계열화 사업자 등 가금산업 관계자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돼야 하고, 소독 등 차단방역 또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