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

-농업분야 일자리 현황은 어떤가.

농업부문에는 현재 121만개의 일자리가 있으며, 국가 전체 취업자의 14.5%가량이 농식품 분야에 종사한다. 농업 성장 정체, 고령농 은퇴와 영세소농 감소로 농업 종사자는 지속 감소 추세에 있다. 농업·농촌 유지 차원에서 청년층의 영농 창업 활성화가 시급하다. 이에 반해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촌지역 인구는 2015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로 전환하고 있다. 보건·의료·복지 분야 취업자가 증하가는 등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식품·외식산업의 성장으로 일자리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반려동물시장 급성장에 따라 관련 산업의 일자리 증가도 예상된다. 이와 함께 산림분야도 재정 투입 대비 고용 유발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일자리 전망은.

전통적인 농업부분은 스마트팜 등 새로운 접근을 통해 젊은층을 유입시켜 나갈 생각이다. 첨단기술과의 융합으로 스마트팜 등을 활성화시키고 온라인 직거래 활성화 등의 분야도 지속적으로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농촌지역의 사회서비스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경제 모델을 중심으로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분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농촌 지역 인구 증가와 함께 농촌지역의 보건·의료·복지 분야 취업자도 증가 추세이다. 식품·외식, 농자재 등 연관산업의 성장으로 새로운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의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율주행트랜터, 정밀파종기, 작황모니터링 등 첨단 농기계 시장은 2050년까지 2400억 달러(약 270조원)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정부 정책 방향은.

농식품부는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우선 청년 영농 창업 지원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다. 청년 농업인에게 창업 후 5년간 매월 최대 100만원의 생활·경영 안정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청년 벤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농식품 모태펀드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고 농식품경영체의 단계별 투자지원을 통한 창업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다. 6차 산업을 지속 발전시켜 농촌 지역 일자리를 늘려나갈 것이다. 이와 관련 창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경영체 성과관리 등을 통해 창업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 또 농촌관광과 관련 특색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서비스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연관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사회적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 주체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설 생각이다. 이와 함께 일손부족 해소를 위한 인력중개센터 참여 농협 수를 확대하고 지자체의 인력중개기관을 통한 인력공급도 확대해 나가겠다.

식품·외식산업과 관련해서는 기능성식품과 고령친화식품 육성, 국가식품클러스터 본격 가동에 따른 전문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민간 기업 인턴 프로그램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

아울러 스마트 농기계 개발, 첨단 수출산업화를 위한 전략적 R&D(연구개발), 수출 지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농기계 이용률 제고 및 임대사업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숲가꾸기, 산림바이오매스 수집 등 산림자원 조성 인력을 확대해 나가고 산림휴양, 레포츠치유 등 산림복지서비스 확충을 통해 일자리를 늘려나갈 것이다. 급증하는 반려동물시장과 연계해서 반려동물 의료 서비스 산업, 펫사료, 펫용품 시장도 육성, 일자리를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