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난 15일과 16일 대전에서 실시한 동물복지 인증제 정기교육에는 축종별로 농가들과 도축장 관계자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교육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이들의 모습에서 '동물복지가 단지 반려동물이나 실험동물 등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이젠 농장동물에서도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하겠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농장동물복지는 그동안 축산 현장에선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던 게 사실이다. 유럽과 비교해 환경과 조건이 다른 우리의 실정을 감안할 때 과연 동물복지를 제대로 적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부터 설령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이 유통되더라도 소비자가 과연 비싸게 제값을 주고 구입할 것인지도 의문으로 남았다. 말 그대로 시기상조라는 생각에 모두가 눈치만 봤던 게 사실이다.

국내에서 농장동물복지가 현 단계에선 여전히 ‘모험’이라는 점을 완전히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난해 유럽과 우리가 경험한 살충제 계란 파동은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들의 인식에도 상당히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나 싶다. 축산업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인식은 말할 것도 없고 축산물 먹거리에 대한 위생과 안전이 무너지면 그 피해는 결국 단기든 중장기든 고스란히 축산업이 안고 가야할 숙제가 된다는 점에서 생산자의 위기감도 커진 게 사실이다.

과거 7~8년 전 덴마크, 독일 등지를 취재한 기억을 되살려보면 유럽은 농장동물복지의 흐름과 추세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다. 주어진 환경 못지않게 산업적인 측면과 동물복지의 입장에서 농장동물의 생산, 운송, 도축, 가공, 유통 등 전반에 걸쳐 확고한 철학을 갖고 체계화된 매뉴얼대로 실천하고 있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이는 시설의 좋고 나쁨, 규모의 크고 작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농장동물복지가 자연스런 흐름으로 되기 위해선 우선 생산에서 도축 전까지 종사자의 인식의 전환과 구체적인 실행이 뒤따라야할 것이다. 동물복지와 관련한 정부의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도 조속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젠 ‘할까 말까’ 머뭇거릴 것이 아니라 과감한 인식전환과 함께 투자가 있길 바란다. 정부와 관련업계는 농장동물복지를 통한 생산의 기본적인 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이는 한편 위생·안전 시스템을 마련해 인증과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