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흰떡가락 ''순수·장수'' 의미…조랭이·만두떡국 등 다양
- 쌀과 함께하는 설날 이야기

민족 명절 설, 설날 아침에는 예로부터 밥 대신 떡국을 먹었다.

새해 아침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문헌에 나와 있지는 않지만 흰떡가락이 희고 길어 순수와 장수를 의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떡국은 국물로 그 맛을 더하는데 집안이나 지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새해 먹었던 떡국,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지역별 떡국 어떤게 있나

떡국은 멥쌀을 가루내어 떡메로 친 후 손으로 길게 뽑은 흰 가래떡을 썰어서 맑은 장국을 넣고 끓인 음식이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떡국은 백탕 혹은 병탕으로 적혀 있다. 이는 겉모양이 희다고 해 백탕이라며 한 것이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고 해 병탕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떡국은 보통 소의 사골이나 양지머리, 사태 등을 오래 고아서 사용하지만 지역별로 구기자, 닭, 꿩, 두부 등을 함께 넣고 끓이거나 모양을 다르게 하는 등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식탁에 오른다.

경기도에서는 작은 누에고치 모양의 ‘조랭이 떡국’이 있으며, 강원도에서는 만두와 함께 먹는 ‘만두 떡국’을 즐겨 먹는다. 또 충청북도에서는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다슬기생떡국(올갱이날떡국)’을, 충청남도에서는 주로 ‘구기자떡국’이나 ‘닭생떡국’을 먹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상북도에는 가래떡을 어슷 썰지 않고 태양처럼 동그랗게 썰어서 육수가 아닌 장국에 끓여낸 ‘태양떡국’이 있다. 집집마다 장맛이 다른 만큼 떡국맛도 다르며 육수가 들어간 떡국보다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경상남도에는 찹쌀과 멥쌀을 섞어 반죽을 하고 가마솥에 구운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조금 꼬들꼬들하게 말려서 끓이는 ‘굽은떡국’과 ‘꿀떡국’이 있다.

전라북도에서는 ‘두부떡국’과 ‘생떡국’이, 전라남도는 꿩고기로 끓이는 ‘꿩떡국’이 각각 새해 밥상에 오른다.

한편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서울 강남고속터미널에서 설 뒤성객을 대상으로 홍보전단지와 쌀과자 등을 나눠주며 ‘쌀과 함께하는 설날 캠페인’을 전개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