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업농중앙연합회는 지난 5일 농업기반공사 교육원 대강당에서 전업농과 정부 및 학계, 농업단체 관계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속가능한 쌀산업 발전을 위한 대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참석자들은 쌀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농규모의 확대로 생산비를 낮추는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기능의 쌀생산과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준근 전남대교수는 `지속 가능한 쌀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적 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 쌀 산업이 지니고 있는 가장 큰 한계점은 경영규모의 영세성”이라고 전제하고 “쌀 산업의 발전을 위해선 영농구조개선을 통한 생산비의 절감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농지매매, 농지교환과 분합확대, 임대차 확대, 과감한 농지유동화, 농지집단화 노력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교수는 영농규모화 사업 추진시 농지매매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농지매매방식보다는 농지의 임대차를 통한 규모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995년 이후 6년간의 쌀 영농규모화사업 면적은 5만3493ha로 이중 임대차사업에 의한 규모화사업 면적이 6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업금액도 매매된 논의 ha당 금액이 6141만3000원인데 비해 임대차 금액은 ha당 1652만2000원에 불과해 농지가격의 지속적인 증가를 고려할 경우 임대차 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정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은 “영세소농구조와 고령화 등으로 쌀 생산비가 높아지고 있어 영농규모화 사업으로 통한 생산비 절감에 노력해야 한다”면서 “쌀 소비의 확대를 위해서는 쌀 가공사업을 확대하고 북한에 식량의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동규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쌀산업의 여건변화와 대응방안'''' 주제발표에서 “WTO 쌀 재협상과 관련 일본이 1999년부터 쌀을 관세화함으로써 관세화 유예기간의 연장을 원하는 우리나라의 입지가 더욱 어렵게 돼 관세화에 대비한 국내대책을 완비해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생산조정정책의 도입도 2005년 이후에 적용될 쌀 재협상의 결과에 따라 도입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밝했다.

쌀의 고품질화와 가공기술의 개발로 국내소비는 물론 수출까지도 확대시켜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상효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쌀소비 촉진을 위한 실천적 제안'''' 주제발표에서 “쌀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과자나 가공품을 개발하기보다는 기존의 밥을 어떻게 하면 간편하게 지을 수 있는지, 좀더 밥맛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기능성 쌀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는 틈새시장을 겨냥한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그는 “우리나라는 UN이 선정한 물부족국가이고 쌀뜨물이 하천오염원의 주범으로 되고 있어 쌀뜨물을 유기액비로 개발, 토양개량사업을 활성화해 무공해 유기농쌀의 생산기반을 구축하는 등 수질 환경문제를 고려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