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멍게 수입늘며 경쟁본격화…국내 업계 체질개선 필요

  최근 일본산 멍게(우렁쉥이)의 수입이 늘어나기 시작하며 5년간 이어져 온 국내 멍게양식업계의 호황이 끝나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전까지 우리나라 고급 일식당 등에서는 일본산 멍게가 향과 맛이 뛰어나다는 이유로 선호했다.
  하지만 동일본대지진 이후 원전 오염수 유출이 밝혀지며 시장상황은 급격히 변했다.
  멍게 주산지인 미야기현 등 동일본지역의 수산물 수입이 전면 금지되고 방사능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국내 일식당 등에서도 일본산 멍게의 판매를 꺼려했기 때문이다.
  일본산 멍게의 주요 판매경로였던 일식당 등에서 일본산 멍게를 국내산으로 전환하며 우리 멍게양식업계는 때아닌 호황을 누리는 등 오히려 ‘방사능 특수’를 맞았었다.
  하지만 올해에 접어들며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수입금지지역으로 지정된 일본 내 멍게 주산지인 미야기현 등이 아니라 홋카이도 등의 지역에서 생산된 멍게의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동일본 대지진 이전 멍게수입량은 연 평균 7000톤 가량을 기록해왔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수입량이 급감, 2012년도에는 2000톤, 2014년에는 1400톤 가량으로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며 수입량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까지 1398톤을 기록했던 멍게수입량은 11월 말 기준 1706톤으로 전년대비 22% 가량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앞으로도 수입량이 늘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일본산 멍게를 판매하지 않으면서 외식업체 등에서는 멍게의 향과 맛이 떨어진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어져 온 터라 일본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줄어들수록 일본산 멍게의 수입량이 늘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멍게 수입량의 증가세보다 더 큰 문제는 일본 정부가 지난 5월 우리 정부의 금수조치를 두고 WTO협정을 위반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를 제소, 향후 멍게 주산지인 동일본 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에 대한 금수조치가 전면 해제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일본산 멍게가 다시 우리식탁을 점령 해나가고 있지만 국내 멍게양식업계의 대응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KMI를 비롯한 수산업계의 전문가들은 일본 수산물에 대한 금수조치로 인한 호황기가  곧 국내 멍게양식업계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기라며 체질개선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호황에 젖은 멍게양식업계에서는 자체적인 경쟁력 강화에 소홀했으며 우리 멍게양식업계의 오랜 과제였던 멍게물렁증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멍게수입량이 늘어나자 멍게양식업계에서는 경쟁력 강화가 아니라 일본산 멍게를 유통하는 유통인들을 성토하는 등 일본산 멍게의 수입증가로 예견되는 문제의 화살을 유통업계로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KMI 수산업관측센터의 한 전문가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멍게양식업계가 누린 호황은 국내산 멍게의 품질개선 등을 통해 직접 만들어낸 호황이 아니라 일본의 주산지 붕괴와 금수조치 등에 따른 반사이익에 따른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보면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우려가 상당부분 불식되고 금수조치가 해제되는 것은 자명한 상황이었는데 그간 멍게양식업계는 이같은 점을 간과하고 체질개선에 실패했고 정해진 수순처럼 일본산 멍게의 수입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멍게수입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국내산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충성도는 여전히 높고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방사능에 대한 우려도 여전한 만큼 아직까지 체질개선의 기회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며 “자조금을 조성해 판촉활동을 강화하는 동시에 가공기술개발과 수출시장 개척 등을 통해 일본산 멍게의 수입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만한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