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리작·간척지 조사료 재배확대 필요

  <上> 갈수록 줄고 있는 국내산 조사료 자급률
  <中> 무엇이 문제인가
  <下> 국내산 조사료 확대 해법은 있는가

  축산농가의 생산비 절감과 고품질 축산물 생산을 위해선 조사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에 국제 곡물가격이나 사료가격 상승 등 대외 여건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사육환경을 만들기 위해선 국내 조사료 생산기반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그럼에도 대내외적인 문제로 국내산 조사료 자급률은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정부의 조사료 정책방향과 이에 대한 축산업계의 의견을 살펴봤다.

  # 조사료 재배참여 확대 등 생산·이용 활성화 대책 수립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산 조사료 자급률을 현재 82%에서 2020년 90%로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중이다.
  특히 올해는 소 사육마릿수 감소로 조사료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데다 지난해 가을 파종기 잦은 강우와 일기불순으로 파종면적마저 줄어 국내산 조사료 생산이 위축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우선 8월경 경종농가의 재배참여 확대와 사업체계 개선, 지자체 책임성 강화 등에 중점을 준 조사료 생산·이용 활성화대책을 최종적으로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대책으로는 국내산 조사료 품질고급화를 위해 조사료 품질검사와 등급제를 통한 사일리지 제조비 차등지원, 생산실명제 표기 의무화, 지자체별 재배목표제 도입 등을 추진키로 했다.
  더불어 할당관세 배정시 축산농가는 생산실적을 중심으로, TMR(완전배합사료)업체는 국내산 조사료 사용실적을 기준으로 차등 배정키로 했다.
  생산·유통부문에선 기계장비 지원 등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대규모 들녘별경영체 참여를 유도하고 TMR 가공시설과 유통센터에 대한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규모화·집단화된 전문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품질등급에 따른 가격차이를 확대하고 검사보조원 등 인력지원과 품질검사장비 확충 등에 대한 정책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정책 지원규모 늘려야
  이같은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 축산업계는 답리작 및 간척지를 활용한 국내산 조사료 증산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논의 답리작 이용을 현행 대비 20만ha만 확대해도 180만톤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간척지중 농업용 면적으로 배정된 3만ha를 조사료 재배용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쌀 재고 해소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조사료 대체 재배인 만큼 벼 재배 대체작목으로 조사료 생산을 적극 유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사료 이용 확대와 관련해선 TMR 공장에 지원되고 있는 장거리유통비 지원을 조사료 유통센터까지 확대하는 동시에 톤당 5000원인 지원규모도 상향조정하고 사일리지제조비의 국고보조율도 30%에서 50%로 상향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밖에 국내 사료작물 종자 생산단지 육성 및 보급체계 구축과 사료작물 검역 완화 등 외국 도입 종자 활성화, 지역 특성에 맞는 지원, 품질 고급화를 위한 건초화 기술 정착 등이 필요하다는 게 축산 관련 업계의 요구다. <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