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2025년까지 축종별 ICT 접목해 사육환경 개선

  농촌진흥청이 올해부터 성장에서 복지까지 축종별 특성에 맞춘 한국형 축산 스마트팜 개발에 나선다.
  한국형 축산 스마트팜은 가축 생산성 30% 향상, 노동력 25% 절감, 스마트팜 농가 보급률 30% 이상을 목표로 △스마트팜 모델 개발 △축사시설과 환경제어기술개발 △빅데이터 활용기술 개발 등 총 3가지 과제를 3단계로 나눠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는 축산 스마트팜 보급·확산을 위해 ICT를 활용한 스마트 축사 모델을 마련하고 축종별 현장 실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현장 실증시험에서 한우와 젖소는 성장과 질병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며, 송아지에게 젖을 먹여주는 포유(젖먹이)로봇과 RFID 인식을 통해 각 개체별로 필요한 양의 사료를 먹이는 사료 자동급이기를 이용, 송아지 육성률과 어미소의 신체충실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양돈 ICT는 동물복지 측면에도 유리해 임신한 어미돼지를 자유롭게 풀어 기르는 군사사육의 경우 어미 운동량이 늘어 다리 건강이 좋아지고 난산 없이 분만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스톨(단칸우리)에서 벗어나 사육 가능해 동물복지에도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산란계, 육계의 경우에는 사양관리 특성상 개체별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온도, 습도, 유해가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환경제어와 사료, 음수량 측정 등 경영관리 측면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최동윤 농진청 축산환경과장은 “최적사육환경, 정밀사양관리 등에 ICT를 활용하면 노동력은 절감하고 생산성은 높일 수 있다”며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이 정착돼 농가 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농진청은 축종별 ICT를 접목한 스마트 축사 모델개발과 동시에 가축의 행동, 호흡, 맥박, 기침 등 생체지표를 수집,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상태, 질병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도 빠른 시기에 실용화해 보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