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질병 청정화' 기반구축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당초 다음달 실시할 예정이던 구제역 취약지역에 대한 구제역 백신 일제접종을 이달 조기 실시, 돼지의 면역력을 동절기 이전에 향상시키기로 했다.
  이는 올 겨울을 대비한 조치로 조기안정화를 추진해 구제역의 재발을 막고 장기적으로는 청정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上) 계속되는 구제역·AI
  (下) 3단계 방역 대책

  # 방역대책 단계별 추진
  최근 농식품부가 발표한 ‘구제역 및 AI방역관리 대책’에 따르면 단계별로 다음달 특별방역기간에 앞서 이달말까지 1단계 조기안정화를 추진하고 다음달부터 내년 5월까지 특별방역기간 사전예방강화에 나서는 2단계를 적용하는 한편 내년 6월부터 오는 2018년 12월까지 청정화 기반구축에 나서는 3단계 계획이 제시됐다.
  이처럼 방역대책을 단계별로 추진하게 된 배경은 방역당국이 올 들어 방역추진 과정에서 일부 농가의 방역의식 문제와 더불어 기존에 드러난 지자체 방역인력 부족과 권역화 정착을 위한 제도개선 등 일부 문제점들이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안정적인 방역관리를 비롯해 백신청정국 및 청정국 지위 회복을 위해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어 중장기 대책을 추진,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 조기안정화→중기 사전 예방강화→장기 청정화 기반 구축
  농식품부는 다음달 동절기 특별방역대책기간에 앞서 이달 한달간 1단계 조기안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우선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 즉 NSP항체 검출농장은 발생농장 수준으로 이동제한과 타 시도 반출금지 등 특별 관리하되 전문수의사의 1대 1 맞춤형 컨설팅 제도를 도입, NSP 항체 청정시까지 정기 방문 예찰, 사육구간별 검사 등이 실시된다. 이와 관련해 하반기 20개 NSP 항체검출 농장에 대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또한 농가 방역의식 제고를 위해 축산업허가제 교육에 방역교육을 추가하고, 대한한돈협회 122개 지부별 월례모임에 현장수의사 등 전문가가 찾아가는 현장밀착 교육도 실시된다.
  이와 함께 외국인 노동자 맞춤형 교재 제작과 구제역, AI 방역용 소독제의 수거검사를 강화하고, 효력시험 시 온도조건도 다양화하며, 효능이 미흡한 품목에 대한 허가취소 등 행정처분 기준도 강화하는 등 소독제 관리 강화에 나선다.
  농식품부는 동절기 특별방역대책 기간인 내년 5월까지 사전 예방강화 단계로 삼아 현장의 권한과 기능강화를 통한 초동대응능력 제고를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의 현장 방역조치 권한과 역학조사, 진단 등 현장 기술지도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축산업 허가제 강화, 돼지 위탁농장 관리강화, 사료하치장 방역관리 강화 등 방역주체의 책임성과 역량강화를 위한 관련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예찰·취약요소 관리 등을 통한 질병 조기 차단을 위해 과거 구제역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일제검사를 실시해 백신 항체형성률 저조농가, 밀집사육단지, 가금전통시장 등을 집중 관리키로 했다.
  백신접종에 있어서도 철저한 구제역 백신접종 관리를 위해 농장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표준화된 매뉴얼을 마련하고, 하반기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돼지농장에 대해 일제접종을 다음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실시키로 했다.
  특히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과학적인 방역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동물질병 예측모델을 운영하고, AI 방역을 위한 가금·종란 이동정보 관리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3단계인 내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산업체계 개편 및 관계기관 협력 강화를 통해 구제역·AI 청정화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 기간동안 권역화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도축시설이 부족한 충남도 등에 대해서는 신규 도축장 신축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2018년 3월까지 무허가 축사와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대한 적법화를 추진하고 가축분뇨의 안정적 처리 및 악취 저감을 통해 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키로 했다.
  구제역 백신 국산화와 더불어 ‘원헬스(One Health)’시대를 맞아 국내 질병관리본부와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해 공동대응하고,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개최, 중국 등과 백신 국제 공동개발 연구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