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산업…성장세 불구 소득 '제자리'
김동환 원장, 신유통포커스서

원예 산업이 성장세를 보여 왔음에도 농업 소득은 정체되고 있어 품목별 전국조직 활성화를 통해 가격 안정화를 꾀하고,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동환 (사)농식품신유통연구원장은 최근 신유통포커스 ‘원예산업의 현황과 미래 발전과제’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원예농산물의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농업인 스스로 수급조절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정부 주도하에 원예농산물 수급관리가 이뤄졌으나 농가들의 도덕적 해이 문제와 정부의 적절한 대처 미흡 등으로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품목별 전국조직은 농가를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기초조직을 하부에 둬 실질적인 물량 조절과 자조금 제도를 확대하고 소비 촉진 및 판로확대와 교육, R&D(연구개발)를 통한 원예산업 발전을 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품목별 전국조직이 정부 의존에서 벗어나 품목별 발전 대책을 스스로 수립해 자율적인 산업발전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봤다.  

김 원장은 “현재 자조금 단체, 협회, 품목농협이 각각 나눠져 있는데 이를 하나로 합친 품목별 전국조직이 산업별 발전정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제도를 만들고 자금을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만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수요변화에 적극 대응코자 생산자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소비자 중심의 경영 강화가 필요하다”며 “수요 감소를 고려한 장기적인 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수요 촉진과 생산구조 재편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전체의 1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인 가구 비중이 27%에 달하는 등 고령화와 가구의 소인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원장은 “인구의 저성장과 고령화로 수요가 정체되고 1인가구의 증가로 구매단위의 소량화도 예상된다”며 “수입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태도도 국내농산물 수요를 위축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농가조직화를 통한 공동판매를 확대해 농가교섭력과 브랜드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공동계산이나 계약생산을 통한 계열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원예 농산물의 품질개선과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교섭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