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허가제 전환…입식량 관리로 수급·가격 안정을

▲ 채포된 극동산 실뱀장어를 선별하고 있는 모습. 올해 극동산 실뱀장어 입식량이 증가하면서 소비촉진 대책과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극동산 뱀장어의 입식량이 급증하면서 수급관리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올해 극동산 뱀장어 입식량은 1만1879kg으로 지난해 9250kg에 비해 2000kg 이상 증가했다.

이처럼 극동산 뱀장어의 입식량이 증가한 것은 실뱀장어 수입과 국내 채포가 원활한 데 따른 것으로 이에 따라 실뱀장어 가격 역시 마리당 2000~2100원 수준을 기록, 전년산에 비해 1000원 가량 낮았다.

극동산 뱀장어의 입식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향후 국내 뱀장어의 과잉공급과 이에 따른 가격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올해 입식된 실뱀장어의 양을 양성후 출하가능물량으로 환산했을 때 출하량은 1만5000톤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국내 연간 뱀장어 소비량인 1만톤을 크게 넘어서는 수치이기 때문이다.

특히 뱀장어 양식은 입식시기가 일정해 양성후 특정시기에 출하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는 터라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비해 소비 확대를 위한 대책마련은 쉽지 않다.

뱀장어는 축제가 따로 없어 소비를 급격히 늘리기 쉽지 않으며, 자조금도 3억원 가량에 불과한터라 별도의 소비촉진행사를 실시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출을 추진하려해도 중국과의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데다 일본은 덮밥인 연한 고기를 좋아하는 반면 국내 시장에서는 쫄깃한 식감을 선호하는 등 양성과 출하패턴도 다르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뱀장어를 구워먹는 것이 일반적인 터라 가공품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으며, 수요가 있다고 해도 뱀장어를 가공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업체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뱀장어 공급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에 대응, 뱀장어 양식을 허가제로 전환하고 입식량 관리제도를 시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국내 실뱀장어 채포량을 파악키 위해 실뱀장어 채포규정 정비, 실뱀장어 유통경로에 대한 모니터링, 뱀장어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인식개선 등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박민지 KMI 수산업관측센터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2015년 6월 시행된 ‘내수면 어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안’에 따라 뱀장어 양식업은 농림수산부 장관의 허가로 지정한 곳에서만 가능하게 됐으며, 현재는 개별양식장 마다 입식량을 제한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효율적인 입식량 관리를 위해 뱀장어 양식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입식량 관리를 시행해 수급관리와 가격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유럽산 뱀장어가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부속서에 게재된 이후 무역규제가 시행된 선례를 감안할 때 극동산 뱀장어 또한 국제 거래 제한이 시행될 수 있다”며 “실뱀장어의 국제 거래가 제한될 경우 양식어가의 경영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만큼 무분별한 입식에 대한 어업인의 인식개선과 자율적인 입식량 조절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