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와 관련해 가금농가에서 소독제가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효력, 미사용, 관납 등 각종 문제가 전방위적으로 도마에 오르더니 이제는 살충제 계란 사태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이번 사태는 이미 업계에선 오래 전부터 해묵은 과제였고 유럽에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 했지만 계란 내 살충제 성분 검출은 결국 터질 것이 터진 셈이다.

전세계는 물론 우리나라도 이젠 축산에서 환경문제는 단순한 중요성을 넘어 소비자 신뢰와 직결돼 농가, 관련 단체, 정부 모두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대처해야 할 것이다. 

우선 정부는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를 말끔히 해결할 수 있도록 조사에 신뢰성을 높이되 시간을 두고 추적조사를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발빠른 대처도 중요하지만 계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회복이란 측면에선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살충제 계란의 유통을 막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산란계농장에 여러 동의 계사가 있고 이들 중 환경이 가장 나쁜 곳의 계란을 검사해야 한다는 현장의 지적도 참고해야 한다. 사태가 잠잠한 것처럼 보이다가 유통단계에서 추후 또 다시 살충제 계란이 나온다면 소비자 신뢰는 완전 금이 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친환경인증농가에서 이번 사태가 다발한 것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진드기를 박멸하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은 상황에서 현장과 제도가 괴리된 측면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간자율인 인증제도 자체의 문제에서부터 형식적인 사후 관리도 손봐야 한다. 치료 목적 외에는 항생제 사용을 금지하는 상황에서 산란율 등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도 앞으로 강구돼야 한다. 천연물질 등 대체제를 활용한 동물용의약외품의 허가 부분도 객관적인 매뉴얼이 담보되는 선에서 풀 것은 풀어야 할 것이다. 의사, 약사, 수의사가 아닌 한 살충제 등 유통 중인 제품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다는 건 당연한 만큼 철저한 농가 교육도 뒤따라야 한다. 아울러 국내산 계란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력추적 시스템을 갖추는 한편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홍보하는 정부와 농가, 관련협회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가 깨끗한 축산, 환경을 생각하고 소비자를 생각하는 축산으로 가는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