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맞춤형 공급' 페러다임 전환 필요
합리적 가격·취향·가성비…소비 다각화 경향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농식품 소비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과거의 일률적인 고급화 지향에서 상품·서비스 차별화, 맞춤형 공급 지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분야 영향과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농식품 소비트렌드는 선물과 식사접대 수요 감소로 전체 농식품 수요가 줄었으며, 선물이나 접대를 대신해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소비가 중요해져 소비 다각화 경향이 뚜렷해졌다.

또한 농식품 소비가 합리적 가격과 개인 취향에 적합한 품질, 가성비에 좌우되는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 분야는 단기적인 소비위축과 중장기적인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키 위해 정책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보고서는 농식품 소비트렌드 변화에 근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이나 상황에 적합한 상품·서비스의 차별화, 연령대·성·가족구성에 따른 상품·서비스의 맞춤형 공급, 품목·분야별 소비·시장의 트렌드 분석 정보 제공 등의 중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에 따라 과일은 학교급식·간식사업 확대와 출하 분산 및 균질한 과일 공급 체계 구축이 중요도와 시급성 측면에서 우선되며 중요도와 달성가능성 측면에서는 실속형·소포장 맞춤형 상품 개발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화훼는 소비활성화 프로그램 확대와 판매채널 확대과제가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며 달성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인삼의 경우 소비촉진 캠페인 및 마케팅과 수출확대 지원이 요구된다. 한우는 중요도와 달성가능성을 고려할 경우 학교급식 지원과 실속형·소포장 상품 개발 등의 수요확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식품 소비감소를 단기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출산 장려 등 사회적 아젠다와 연계해 농식품 구매(교환) 쿠폰 발행 등 수요 대책이나 간소화된 선물 또는 실속형 식사 메뉴의 개발·보급 대책 등이 강구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