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14개 분야별 전략과제 수립

세종시가 푸드플랜 수립을 위해 도농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자급자족형 푸드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태 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 컨설턴트는 지난 21일 세종시 조치원읍 세종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사)농정연구센터 주최로 열린 도농상생의 지역혁신 모델 ‘세종시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월례세미나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김 컨설턴트는 “세종시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기반과 세종 푸드액션, 미래형 세종 자치농정을 토대로 푸드플랜의 세부 추진전략을 세우고 있다”며 “세종형 자치농정 트랙과 세종시 푸드액션 트랙 등 14개 분야별 전략과제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세종형 자치농정 트랙은 총 7개로 △협치농정-3농위원회와 회의소 △생태농정-친환경적 생태 영농 △공정 농정-시장유통과 로컬푸드 △공생 농정-도농 교류와 CSA △사회농정-농촌재생, 공동체, 치유 △상생 농정-농업과 기업 상생 모델 △미래 농정-에너지, 저탄소, 신사업 등이다.

그는 이어 “세종시는 시민참여형 푸드거버넌스(세종먹거리위원회), 안전먹거리 공급망, 품목다변화와 기획생산을 위한 푸드액션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공급식과 과일간식, 식생활 개선과 영양관리, 세종형 푸드케어, 세대주기별 맞춤형 푸드 정책도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시는 내년에 행정조직 개편(안)을 마련하고 먹거리정책부서 신설을 검토한 후 푸드플랜 비전선포식을 할 예정이다.

이날 박윤지 농정연구센터 연구원은 세종로컬푸드사업의 평가와 과제 발표에서 “세종시 로컬푸드가 소농 참여비율 확대로 품목 다양화를 실현하고, 세종시로컬푸드인증체계 구축을 통해 차별성과 생산자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며 “로컬푸드가 소비자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 “푸드위원회를 통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공공급식지원센터를 시작으로 로컬푸드허브 형태로 발전을 꾀해야 한다”며 “세종시의 로컬푸드 유통경로 비중을 높이기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대량수요처를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