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는 국내 축산업의 생태계도 바꿔놓고 있다. 축산부문에서 고령화는 단지 농장주가 늙어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후계축산농 육성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고령화가 갈수록 진행되면서 이제 가업을 이어받는 2세 확보 문제도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목전의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다.

# 고령화비율 45%…농가수 감소로 이어져

 

앞으로 10년 내에 축산업을 그만두게 될 농가수는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축산업 전체에서 65세 이상의 고령화 비율은 45%에 이른다. 특히 축산업 축종별로 살펴보면 한우와 가금 분야에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2014년 기준 고령화비율은 산란계 52.0%, 육계 50.2%, 한우 45.7%, 오리 36.6%의 순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농가 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현재의 감소추세를 감안, 낙관적으로 전망하더라도 12만4000호에서 오는 2024년에 8만3000호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다소 비관적으로 예상하면 6만5000호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최근 무허가 축사문제, 가축분뇨, 질병 등으로 인해 신규 축산업 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인 가운데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축산농가수는 24만호나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한우농가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한돈농가는 감소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 후계농 확보율 한우 9.8% 불과
 

고령화사회의 영향은 승계할 2세 부족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 축산부문을 가업으로 이어갈 2세 확보율이 저조해지고 있는 가운데 축산업의 후계농 확보율은 30% 미만에 불과하다.
  특히 한우 후계농 확보율은 9.8%에 불과하며 다음으로 육용오리 13.0%, 육계 14.9%, 산란계 24.1%, 낙농과 양돈은 30%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축산부문에서 고령화의 영향은 축산업의 생산기반 위축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 축산업의 생산기반이 위축되면 결국 국민경제 측면에서 식량안보 위협은 커질 수밖에 없다. 생산액 감소하면 이는 곧바로 고용 축소 등의 문제로 이어지는 것도 불을 보듯 뻔하다.
 

또한 축산물 수급 측면에서는 공급 차질로 물가 불안이 초래될 수 있고 전반적인 축산소득 감소는 결국 농촌소득의 감소로 나타나고 농업 경쟁력은 갈수록 저하될 수밖에 없다.

# 농촌사회 안정성 붕괴 위협
 

전문가들은 이 같은 고령화사회가 축산부문에서 가져올 위협으로 고용 창출이 줄어들고 부가가치 증진 효과에서도 제한이 따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결국 농촌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농촌경관과 환경보전 측면에서 축산업의 긍정적 외부효과 역시 제한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처럼 축산기반이 위축되면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고령화사회 2세 후계농 육성은 단지 축산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에서도 젊은이의 유입을 촉진해 농촌의 활력을 증진하고 농촌을 재건하려고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농촌은 열악한 정주생활 기반과 도농 간 격차로 인해 정주 만족도가 낮아 활력 있는 농촌 재건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 축산에서 2세 후계농 최대 고민거리 민원
 

이런 가운데 현재 상당수 젊은 2세 축산인들이 축산부문에 진출해 느끼는 최대 고민거리는 이른바 ‘민원’으로 이를 해결하는 것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경주에서 번식우 80여마리를 키우고 있는 2세 축산인의 경우 고령인 부모님을 대신해 축산을 하면서 신축 부지를 찾는 데만 민원 탓에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2세 축산인들이 부모님이 운영하던 낡고 노후된 시설을 개선코자 의욕적으로 축사 이전을 시도하고 있지만 민원으로 무산되기 일쑤인 것이다.
 

경주의 2세 축산인은 “민원을 단지 개인간의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청년 축산인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다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경기도의 또 다른 2세 축산인은 “무허가축사, 대기업 축산 진출문제 등의 문제로 고민이 많은데 농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낙농의 경우 2세 축산인의 생산의지와 투자 등 여력이 있어도 ‘쿼터’로 생산량을 제한해 자율적으로 생산량을 늘릴 수 없는 상황도 어려움으로 부각되고 있다.
 

낙농부문 2세 축산인은 “직접 가공을 해서 팔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다면 나름의 지위를 확보하고 대기업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고 본다”며 “농가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나 학계가 본보기가 되는 모델 등을 발굴해 젊은 축산인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이나 계도를 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