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가격·최저임금 인상

지난해 10여년 만의 최악의 내수시장 하락폭이라는 기록을 세운 농기계산업은 올해 역시 하락세를 이어 갈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치가 나오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경지면적 축소정책에 더불어 불안정한 농가수익구조가 이어지는 등 농업인의 영농 의욕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여기에 국제 원자재가격 인상 현실화, 근로자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협력 납품단가 및 제품단가 인상이 예견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내수시장의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농기계 업계 중론이다. 트랙터, 콤바인 등 중대형 농기계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주춤했던 수입산 농기계 취급업체의 영업기반 확충과 제품 라인업 정비로 인해 시장점유율(M/S) 경쟁은 최고조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지난해를 원점으로 시작된 정부의 제8차 5개년 농업기계화기본계획 추진에 따라 밭농업기계화의 집중 추진으로 정부 공공임대사업을 필두로, 파종 정식 및 수확기계를 중심으로 중소형 밭농업기계 거래가 상당부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소업체의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여겨지며, 민간업체가 개발한 기계뿐 아니라 정부 국책 연구소가 개발한 밭농업기계의 조속한 현장 실증시험을 통해 보급이 빠르게 촉진되면 침체된 농기계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어줄 것으로 업계는 기대를 걸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는 그간 농업기계 가격의 적정화를 위해 가격표시제 등 여러 방안을 강구했으며, 농업인의 합리적인 농기계 구입 유도와 가격 안정을 위해 현행 정률 융자지원을 정액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심도있게 고민하고 있어 농업기계 구입 패턴도 변화가 있을 조짐이다.

해외 수출시장 부문에서는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농기계 수출 유망국가에 대한 고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구축사업을 지난해부터 시작해 올해 이후 본격 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에서도 해외박람회 집중 지원 등 수출기업화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종합형에서는 개발도상국과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이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나 기업경쟁력 제고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김경수 농기계조합 정책지원팀 이사는 “트랙터 본체 수출에 중소형 업체의 작업기가 동반 진출할 수 있도록 제품 품질 고도화 및 현지화를 위한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중소기업은 제품의 품질 향상과 더불어 메뉴얼화에 대한 투자로 제품 안내서와 사용설명서를 선진 수준으로 제작하고, 본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경쟁력 있는 다양한 작업기 개발에 공동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