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성장속도에도 낚시문화 성숙도 낮아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정책기반 마련 필요

바다낚시와 관련한 정책은 낚시객의 안전과 환경보호, 수산자원관리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장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관광·문화연구실장은 동향분석보고서를 통해 바다낚시가 빠른 속도로 성장한 반면 바다낚시와 관련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전반적인 낚시문화의 성숙도가 낮다고 지적, 향후 정부 정책은 안전과 환경, 수산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실시된 한 조사에 따르면 취미생활을 묻는 질문에 낚시라고 응답한 비중이 40%를 기록, 국민여가로 인식되던 등산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또 다른 조사에서는 최근 1년동안 바다낚시를 했다는 응답이 2010년과 2015년사이에 5.7%포인트가 증가, 바다낚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낚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증가에 따라 낚시어선의 매출액 역시 늘고 있다.

어선을 이용한 바다낚시 이용객은 2013년 196만명에서 2016년 343만명으로 빠르게 증가했으며, 낚시어선 1척당 연평균 매출액은 2013년 2800만원에서 2016년 5000만원 수준으로 급증했다.

낚시인구가 증가하면서 안전사고는 증가하고 있다.

낚시어선 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 6건이었던 낚시어선 사고는 지난해(잠정) 263건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또한 선박사고 이외에도 개인부주의로 인한 실족이나 추락, 만조로 인한 고립, 파도에 휩쓸리는 안전사고 등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낚시문화의 성숙도 역시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KMI가 실시한 ‘낚시활동 여건 및 제도적 개선사항 도출을 위한 조사’에 따르면 낚시활동 제한 규정을 인지하고 이를 준수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30.7%에 불과했다.

이외에도 쓰레기무단투기와 이에 따른 해양환경오염, 지역주민과의 갈등, 금어기 시기나 낚시제한구역에서의 낚시활동 등 낚시문화의 성숙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건전한 낚시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동시에 수산자원보호를 위한 교육 등 낚시문화의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홍장원 실장은 보고서에서 “낚시활동을 즐기는 사람은 증가하고 있으나 낚시와 관련한 기초교육이 미비해 안전사고, 환경오염, 수산자원남획 등이 이뤄지고 있다”며 “건전한 낚시문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우선 낚시동호회와 관련 협회를 중심으로 올바른 낚시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자정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낚시가 국민 레저스포츠로 발전하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낚시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인력·예산확보와 더불어 이를 전담하기 위한 기관의 설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수산자원관리체계 안에서 낚시정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낚시활동에 대한 통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어족자원 보호를 위해 낚시면허제 도입도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