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끊임없는 요구와 환경오염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미생물농약시장이 얼마나 활성화되느냐에 달려있다.
이는 곧 미생물농약이 안고 있는 태생적한계를 얼마나 빨리 극복할 수 있느냐와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상당수의 미생물제는 대부분 외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무등록 또는 무허가인데다 그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기 때문이다.
이 제품들은 모두 병해충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오인돼 경우에 따라서는 오·남용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는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특히 인축 및 환경에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농약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당위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소비자인 농민이 이같은 당위성에 얼마나 호응을 해주느냐는 것이 미생물농약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열쇠라 할 수 있다.
이병묵 농촌진흥청 농업자원과장은 “우리나라 농민들은 농약을 친후 해충이 죽거나, 풀이 없어지는 등 눈에 보이는 효과가 있어야 좋아하는데 미생물농약은 그렇지 못하다”며 “미생물농약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미생물농약이 국내에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는 미생물농약이 안고 있는 약효 및 가격문제 등을 비롯해 친환경농업에 대한 농민의 인식전환이 동시에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관련업체 및 연구자들에게 개발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범 농업과학기술원 박사는 “그동안 연구기관이나 개인이 단독으로 미생물농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개발자원의 실용화에 한계를 나타냈다”며 “국내의 미생물농약 관련 연구기관, 대학연구소 및 산업체가 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단시간에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면 기초 및 실용화연구는 농진청 산하기관 및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산업화 연구는 농진청산하 기관 및 산업체가 공동연구 또는 정보를 공유해 나갈 경우 전문성이 강화되고 수준 높은 기술이 축적될 수 있다는게 이박사의 의견이다.

그 다음으로는 이같이 개발된 미생물농약을 농민들에게 어떻게 전달하느냐 하는 것이다.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미생물제는 생물적방제제, 길항미생물제, 토양미생물제, 생물농약, 미생물농약 등으로 혼동돼 사용되고 있어 농민들이 오히려 이들 제품 모두를 기피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박종서 농림부 친환경농업과장은 “일부 농민들사이에서는 친환경농업만이 우리농업을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그러나 어떤 농약을 써야할지 모르겠다고 호소하는 농민들이 많다”고 전했다.

따라서 농약으로 등록된 생물농약이나 미생물농약은 병해충 방제를 표방하는 유사농약, 유사작물보호제와는 분명하게 구분, 사용돼야 한다. 생산자는 미생물제에 대한 충분한 정보 즉, 사용한 미생물의 학명, 모든 첨가제의 종류 및 양, 제제의 이화학적 성상, 사용목적이나 용도 및 사용방법, 제조년월일, 유효기간 및 주의사항 등을 투명하게 상표에 명시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미생물농약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농민들이 미생물농약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평가 및 이해를 해야 하고, 정부는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미생물농약이 화학농약을 대체해 환경과 국민들의 건강을 살릴 수 있다는 공감대는 형성돼 있으나 개발현황이라던지, 실용화측면에서 볼 때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미생물농약에 대한 기술개발 및 산업화 등은 정부에서, 효과가 인정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 및 농협 등에서 각각 역할을 분담하는 시스템이 서둘러 마련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소비자는 상표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 후 알맞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판단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그럴경우 그동안 미생물비료로 등록되거나 무허가로 유통되던 많은 미생물제들이 미생물농약으로 등록될 것이고 미생물농약을 통한 친환경농업이 자연스럽게 정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농약 원료에 대한 외국의존도에서 벗어나 우리나라도 명실공히 농약원제 보유국으로 거듭 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