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해양환경인문학 선상 아카데미

수협중앙회와 환경재단은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7일간 ‘소중한 지구,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라는 주제로 해양환경인문학 선상 아카데미를 개최했다.

이번 선상 아카데미에서는 ‘배’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환경과 문화, 평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와 관련된 주제의 강연과 공연 등 문화 프로그램이 실시됐다.

특히 수협은 러시아, 일본 등 해외 사례를 탐방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 강연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수산업 활성화와 청정바다 보호를 위한 기회의 장을 마련했다.

하나뿐인 지구와 내가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특별한 프로그램, 해양환경인문학 선상아카데미의 이모저모를 화보를 통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1. 강미선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가 ‘미래의 도시-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란 주제로 ‘느슨하지만 촘촘한 관계 만들기’를 강조했다. 강 교수는 “최근 많은 사람들의 걱정은 관계를 비롯해 공동체, 미래 등에 대한 불안”이라며 “방과 함께를 결합한 집을 만들고, 이런 집들이 이웃과 만나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2. 서명숙 (사)제주올레 이사장은 “느리게 걷는 장거리 도보여행은 삶을 여유롭고, 풍요롭게 한다”며 제주올레길을 만든 배경을 설명했다. 서 이사장은 “제주올레길은 특히 마을사람들과 대화하고, 투쟁하며 인생을 걸어가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해녀가 집과 바다를 오가는 길 등 바다를 중심으로 최대한 자연스러움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3. 일본 후쿠오카현에 위치한 수산해양기술센터 수산자료관. 이 센터는 후쿠오카현의 수산자원과 어장환경을 지키기 위한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과 어촌사회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수산자료관에는 센터에서 연구 및 개발한 기술자료 등을 비치해 어민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4.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설치된 신한촌 기념비. 1937년 20만명에 이르는 고려인들이 시베리아 횡단열차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한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

5. 일본 가나자와에 있는 윤봉길 의사 암장지에서 감춰진 역사를 들췄다. 1932년 12월 19일 총살 당한 후 쓰레기 소각장에서 표식도 없이 발견된 윤봉길 의사. 재일 한인들의 모금으로 세운 암장지와 순국 기념비를 찾아 윤봉길 의사의 희생을 깨닫는 시간을 가졌다.

[특강] 김임권 수협중앙회장, 한국 수산업의 미래-강한 수협, 돈되는 수산

- 자원보호·어업인생계대책 마련 서둘러야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수산자원을 보호해야 합니다. 그러나 강도 높은 어획, 바닷모래채취 등으로 수산자원이 사라지고 있어 수산업의 대수술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김임권 수협중앙회장은 “40~50년 전만 해도 도루묵, 명태 등은 너무 많아서 사료로 쓸 정도였고, 고등어가 잡히면 어장을 옮겨다닐 정도였다”며 “그러나 지금은 연간 어획량이 100만톤 아래로 떨어지는 등 심각한 어족자원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수산 자원은 관리만 잘하면 지속적으로 어획이 가능한데 높은 어획강도와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바닷모래채취, 어장훼손 등으로 인해 어장이 황폐화됐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따라서 자원을 보호하면서 어민들의 생업을 유지하는 정책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잡는 어업을 기준으로 어장, 어선, 어민, 어시장 등 4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돼야 한다는 게 김 회장의 지론이다.

김 회장은 특히 “어장보호를 위해 획기적인 대책이 없을 경우 향후 5년 내에 수산업의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수산자원이 줄어들수록 어린고기까지 잡고, 어획 강도를 높이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는 만큼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구조조정과 함께 어획강도를 줄이는 등 수산업의 대수술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어장을 쉬게 해 주는 것이 유일”하다고 강조하고 “쉬는 기간 어민들의 생계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수산업은 공유지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만큼 정부로부터 특혜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의 각종 규제를 동시에 받고 있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는 게 김 회장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어업은 공유지에서 이뤄지는 만큼 어획 방법 및 어구, 금어기, 금지체장 등의 규제를 받고 있어 어업에서의 경제주체는 정부”라며 “금어기동안 어민들에게 일정정도의 수익을 보전해 줘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