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 추진 면적이 총 3만7000ha로 집계됐다. 농민들이 신청한 3만3000ha에다가 간척지, 농지매입사업 등 정책사업 대상 4000ha를 합친 면적이다.

당초 목표면적인 5만ha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이 정도만이라도 제대로 추진될 경우 지난해 공공비축미 물량의 56% 수준인 약 20만톤의 쌀이 시장에서 격리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업초기 농민들의 반응이 시큰둥했던 점을 감안해 볼 때 나름 선방한 결과로 보여진다. 쌀값 상승에 따른 관망분위기,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데 따른 기계화 미흡, 대체품종 미흡 등으로 사업 출발이 좋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농협의 전사적인 참여 독려 및 쌀전업농·축산농가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행정력 총동원 등에 힘입어 기대할 만한 수준까지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정부의 논콩 전량수매와 농협의 조사료 50%이상 책임판매 약속을 비롯해 농기계지원 등 현장상황을 반영한 사업시행요건 개선 등을 통해 신청 속도가 빨라졌다.

연속된 풍년으로 쌀이 남아돌고, 이로인해 생산비 이하로 떨어진 쌀값으로 인해 농민들의 속을 끓여왔던 점을 고려해 볼 때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니다. 최근 쌀값이 오르기는 했으나 불과 1년전만 해도 80kg 기준 산지쌀값이 12만원대에 머물러 쌀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위태롭게 느껴졌던 만큼 이번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에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에 참여한 면적이 반드시 당초 목적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 이 사업에 참여를 했더라도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마음이 바뀔 수도 있고, 타작물 재배 후 판로에 대한 걱정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타작물 가운데 조사료의 비중이 당초 목표에 비해 많은데다 전남 등 일부지역의 경우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양을 훨씬 뛰어넘어 타지역으로의 이동 등 물류비용 발생 소지가 다분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참여 면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여부를 점검하고, 타작물 참여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을 통해 쌀을 사전에 격리함으로써 수확기 쌀값을 안정시키고, 재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올 사업의 성공여부에 따라 내년에 실시할 논 타작물 재배지원사업도 원활히 추진될 수 있는 만큼 지방정부를 포함한 관계기관의 유기적인 협조와 농협 등 생산자단체의 노력을 거듭 당부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