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로 대표되는 1차 산업혁명. 1870년에 이르러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의 본격화를 이르는 2차 산업혁명. 1969년 인터넷의 출현과 함께 컴퓨터 정보화, 자동화 생산시스템을 주도하는 3차 산업혁명에 이어,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차세대를 이끌어갈 화두로 4차 산업혁명이 거론되면서 세계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고도화된 지능정보기술을 기본으로 완전한 디지털화, 인공지능화의 시대를 의미한다.

세계경제포럼은 2025년 로봇 약사가 등장하고 3D프린터로 자동차를 생산하고 미국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가 10%를 넘고 기업 회계감사의 30%를 인공지능이 수행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커다란 변화의 물결속에 우리나라 역시 범정부 차원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과 제도를 빠르게 정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농업분야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인 대처를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우리나라 농식품 기계·시스템 분야의 기술수준은 최고 기술보유국인 미국 대비 75% 수준, 농업자동화·로봇화 기술 수준은 7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스마트농업의 기술수준은 1세대, 2세대, 3세대로 나눌 경우 1세대가 센서를 통한 환경변화 모니터링과 편리성 증진, 기능제어 등 제어시스템인데 한국의 경우 1.5세대로 2세대인 일본을 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4차 산업혁명 관련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며 기술개발 및 보급확대에 대한 인프라 구축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은 농가소득의 정체, 곡물자급률 하락,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기후변화 등으로 작물 생산이 계획대로 이뤄지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농산물의 생산량이 일정치 않아 가격 등락 폭이 커 농가들은 안정된 수취가격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소비자 역시 안전하고 안정적인 먹거리 확보에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농업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을 전략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특히 이러한 4차 산업혁명기반 기술은 생산단계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유통과 소비 그리고 농업 전후방 산업까지 접목돼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기회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토지와 인력 등 농업관련 기초기반이 농업대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국내 농업시스템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우리 눈앞에 놓여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 유통, 소비이며 이러한 기회는 농업계를 넘어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협업을 통해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