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쌀 가공식품 영역 확대 '역할 집중'
식품산업 발전 위해 대기업 R&D 역할 중요

[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소비자들은 쌀 가공식품을 만들 때 국산쌀로 안 만들고 왜 수입쌀로 만드는지 많은 의문을 갖고 있다. 하지만 수입쌀은 대부분 가공용 식품 원료로 사용하도록 분리돼 있다. 즉 국산 쌀 시장과 격리시켜 국내 시장에 수입쌀이 나오지 않도록 방어해 국산 쌀 시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을 알아줬으면 한다.”

이종규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 상무이사는 소비자들의 오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쌀가공식품산업의 애로사항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일반 쌀과 가공용 쌀은 어떻게 다른지, 이 상무에게 직접 들어봤다.

# 수입 쌀 소비에서 국산 쌀 소비로 이동하는 과정

정부는 수입쌀은 쌀 시장에서 일정부분 격리시켜 대부분을 가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1989년을 기점으로 식량 자급률이 100%를 넘기 시작해 해마다 풍작이 이뤄져 소비량 보다 생산량이 많아 쌀 재고량이 적정 수준을 초과하게 됐다.

이 상무는 “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이후 의무적으로 쌀을 수입하기 시작했다”며 “거기에 2014년 관세 재협상에서 쌀 수입량이 40만톤으로 증가하면서 이제는 정말 쌀이 남아도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쌀가공식품협회의 의무는 바로 이 수입쌀 소진에 있다”며 “가공식품의 대표 시장인 밀가루 가공식품 시장에 뛰어들어 쌀 가공식품의 영역을 확대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쌀이 과잉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국민이 먹고 남는 쌀을 쌀 가공식품으로 만들어 쌀 소비 촉진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언제까지 수입쌀 소진에만 신경 쓸 수는 없다며 2년 이내에는 국산 쌀 가공식품은 모두 국산 쌀을 원료로 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쌀 가공식품 활성화를 위해서는 R&D 역량 강화 나서야

이 상무는 “모든 산업이 그렇듯이 자본과 기술이 뛰어난 대기업이 앞장서야 식품 산업이 발전한다”며 “대기업의 R&D(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5월에 열렸던 ‘2018 쌀가공식품산업대전’의 성과를 살펴보면 상담액은 전년대비 358.5% 증가한 약 439억4500만원을, 계약 추진액은 전년대비 511.5% 증가한 약 111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며 “산업대전에 출전한 업체들이 저마다 수출 활로 개척을 이뤘기 때문에, 협회는 더욱 우수한 쌀 가공식품 업체들을 발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