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신선육 중심 벗어나 '유통형태 다변화' 필요
유통시장 확장...부가가치 높여야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한우가 내수 시장에서 영역을 넓히려면 HMR(가정식 대체식품) 시장으로 적극 뛰어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달 30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주최, 전국한우협회 주관으로 열린 ‘2018 한우 유통바이어 전국대회’<사진>에서 발표자로 나선 손대홍 그랜드와이즈 Inc 대표는 한우 유통 활성화 전략으로 HMR시장을 거론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손 대표의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한우가 유통 시장에서 영역 확대를 위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 알아보자. 

#전통적 한우 유통 시장만으론 한계
국내 전통적 한우 유통 시장은 소비자에게 얼마나 신선한 소고기를 제공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져왔다. 

하지만 손대홍 대표는 “미래 한우 유통 활성화의 열쇠는 HMR시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한우는 기존의 정육 시장 공략만으로는 유통 활성화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선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선진국의 유통 시장은 인구 감소, 1인 가구 증가, 소매시장의 축소, 여성 취업률 상승 등의 요인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간편하게 든든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HMR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도 이런 변화는 포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최근 집에서 식사하는 내식, 밖에서 식사를 하는 외식의 중간 형태인 중식이 뜨고 있다. 밖에서 만든 상품을 집에서 간단히 조리해 먹는 것이다. 일본도 우리와 같이 인구가 줄고 있고 여성의 사회 참여가 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생긴 새로운 트렌드다. 우리가 일본의 사례를 간과할 수 없는 이유다.

 

#미국 사례로 본 HMR시장의 가능성
손 대표는 최근의 식품 유통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4F’로 압축했다. 4F는 Fast(빠른 속도)·Fresh(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Familiar(친숙한 제품)·Foreign(글로벌)을 의미한다.

최대한 빠르게 조리해 식사할 수 있어야 하고, 위생적이고 안전하며, 친숙하지만 새로운 메뉴여야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트렌드를 잘 반영한 것이 HMR시장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밀키트 딜리버리(Meal Kit Delivery) 시장이 커지고 있다. 연 회원제로  
일주일 또는 한달 단위로 정기적으로 80~90% 요리가 완성된 제품을 배달하는 시스템이다. 모두 15분 이내로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의 할인점에서도 신선육보다 가공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통적 냉동식품 업체들도 고객들의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주고 최대의 맛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처리한 냉동 제품을 속속 개발·출시하고 있다. 

그는 “인구와 평균소득 등을 고려했을 때 한국의 HMR시장은 미국 HMR시장의 1/12 규모로 존재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며 “이는 잠재 시장이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풀이, HMR시장의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한우와 HMR 결합
“구매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누가 좋은 소고기를 파는지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전통적 소비행태를 넘어 어떻게 가공했는지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가 달라지는 시대가 왔다.”

한우도 신선육 중심 판매에서 벗어나 몇 분 이내로 간단히 조리해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제품 등으로 그 형태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말이다. 예를 들면 요리를 잘 못하는 이들도 볶거나 전자레인지에 돌리기만 하면 근사한 요리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든가, 스테이크용 고기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일이 알기 힘든 전문가의 노하우로 숙성한 스테이크를 파는 식이다. 

미국의 밀키트 딜리버리와 같은 새로운 유통 방식을 적용해 소비자 접근성을 높일 필요도 있다.

손대표는 “한우 유통 시장을 키우려면 부가가치를 높이는 수밖에 없다”며 “이는 기존 신선육 시장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기존 시장을 유지하며 추가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에선 이베리코가 우리 돼지고기 시장을 교란시켰던 사례를 교훈 삼아 프리미엄급 소고기의 수입에 대비해 미리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