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정부의 축산물 관리가 일원화 돼 소비자들의 먹거리 안전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농림축수산특별위원회 간담회에서는 정부를 향한 축산단체들의 강력한 요구가 쏟아져 나왔다.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새로운 정부 조직개편안을 내놓으면서 시작된 이원화 관리 문제의 최대 피해자는 축산물을 이용하는 국민들이라며 축산업무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맡아야 한다는 내용이 주된 골자였다.  
 

정책의 최대 수혜자인 국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면 조속한 개정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OECD 선진국 37개국 중 27개 국가가 축산물 안전관리를 농식품부서에서 전담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도 현재 식품안전관리를 농림부(USDA)로의 이관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가 진정 축산농가의 소득 제고와 축산업 발전을 위한다면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축산물 관리 일원화 문제를 다뤄야 할 것이다.
 

정부 부처의 이기주의로 인한 축산농가의 억울한 규제가 계속되는 일이 반복되서는 안된다.
 

선진국의 정책이 모든 해결 방안이 될 수는 없지만, 축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않은 채 정부 부처 간 행정 편의주의식 발상으로 이원화된 현재의 축산물 안전관리업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희 소비자의 몫이다.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Table)’ 먹거리 안전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계란 살충제 사태’ 같은 안전 사각지대 문제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국민의 먹거리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식품안전 업무를 단속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고 생산부터 유통, 가공에 이르는 모든 위생·안전관리 업무를 생산 부처로 일원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축산물 안전관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정부와 국회는 외면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