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계란 안전성 제고를 위한 난각 산란일자 표시제가 시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2017년 8월 발생한 ‘살충제 계란 파동’은 소비자에게 큰 충격과 불신을 남겼다. 이로 인해 계란 산업에도 큰 타격을 불러왔다. 당시 농가들은 일부 농가에서 발생한 일이지만 발생해서는 안 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고 적극적으로 나서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만들어지도록 협조했다.

이에 정부는 계란 껍데기에 산란일자를 표시하는 것과 식용란선별포장업을 신설해 위생적인 계란유통 체계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한지 1년 이상이 지난 현재, 정부에서 발표한 안전성 강화 대책은 오히려 살충제 파동 이전보다 더 약화된 대책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계란 안전성 문제의 핵심을 산란일자 표기로 국한해서 볼 것이 아니라 세균오염과 품질 하락을 막기 위한 유통·보관 온도 기준을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국내 법적 계란 저장온도는 15도 이하로, 계란 위생과 안전을 저해하는 주범인 살모넬라균 증식을 억제하는 저온유통시스템(5~8도)은 운용되지 않고 있다. 육류, 우유, 신선식품, 냉장식품 등은 국제 수준의 유통 온도를 따르지만 계란은 그렇지 않다. 농장에서 생산한 계란이 GP(선별·포장) 시설을 거치는 선진국들과 달리 국내는 일부 계란만 GP시설을 거치고 있다.

결국 계란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장에서 식탁까지 지속적이고 일정한 냉장유통이 필요하지만 그렇지 못한 일부 업자들로 인해 계란의 표면 결로와 같은 위생·품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국내 계란 생산·유통 소비의 실상을 제대로 진단하고, 선진국들의 계란 유통 시스템을 본보기 삼아 합리적이고 안전한 대책 마련을 위한 농가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우선 해야 한다. 축산물 가운데 왜 유독 계란 유통이 선진화되지 못하고 있는지 원점에서부터 원인을 살펴봐야 한다. 

‘일단 시행부터 해보고 드러나는 문제점은 향후 고쳐나가자’는 무책임한 제도는 시행 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