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 토론회

[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청년층, 신중년, 은퇴자 등 다양한 연령의 도시 인적 자원을 농촌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토록 유도, 농촌을 국가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혁신의 무대로 만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9일 ‘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을 주제로 충남 홍성군 오누이다목적회관에서 개최한 현장토론회<사진>에서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창길 농경연 원장을 비롯해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석환 홍성군수, 윤황 충남연구원장, 박성수 광주전남연구원장을 비롯해 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등 70여 명의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농경연이 수행중인 ‘농촌 유토피아’ 연구 추진경과를 듣고, 향후 연구 추진 및 아이디어 공유와 함께 기관별 역할 분담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정도채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농촌 유토피아 구상의 실현을 위한 정책 사업화 방향’ 주제발표를 통해 “현 정부의 새로운 국가 패러다임 방향성에 발맞춰 농촌이 ‘포용사회’ 실현을 선도하는 역할을 발휘하기 위해 ‘농촌상생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 농촌의 경제기반 및 재능을 갖춘 도시민의 농촌 정착을 지원하고, 주거복지, 휴양여가 및 지역사회 활동 참여가 가능한 복합생활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특히 관련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정책대상이 되는 농촌지역의 활동범위를 지자체가 아닌 읍면동 단위로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사람’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김철 농식품부 지역개발과장은 “마을 리더를 포함해 현장에서 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 “지역의 공동체성, 경제적 활력, 구성원 삶의 만족도를 충족하는 마을을 유토피아라고 부를 수 있다”며 “지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생각을 보태 길을 열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길 농경연 원장은 “농촌 유토피아는 농촌의 해법을 국가 발전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자는 발상에서 시작했다”며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풀어간다면 충분히 우리 농촌이 유토피아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