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효율성·신뢰성 높이는 촉매제로 '주목'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새로운 데이터 저장 기술인 ‘블록체인’이 농업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국외에선 월마트 등이 블록체인으로 농식품 생산·유통·판매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높이는 이력관리 시스템 등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선 지난해부터 농림축산식품부가 축산물 이력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다.

이에 블록체인이 무엇이며 국내외 농업분야에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봤다.

# 블록체인, 거래 신뢰성·효율성 높일 수 있어

블록체인은 거래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식품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거래정보가 기록된 장부를 암호화하고 공유해 신뢰성을 높이는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이는 금융, 물류, 유통, 공공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

농업 분야에선 농축산물이 유통되고 거래되는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농식품부가 지난 1월부터 시범 운영하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일례로 들 수 있다.

현재 축산물 이력제는 소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 단계별 이력 정보를 신고토록 돼 있다. 그러나 각 단계별 증명서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용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며 위변조 위험성도 존재한다.

이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유통단계별로 입력했던 이력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공유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유통과정을 추적하는 시간을 기존 5일에서 10분 이내로 줄였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는 암호화돼 있는 만큼 이력정보의 위조도 어렵다.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한 ‘제21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에서 김용렬 농경연 미래정책연구실장이 ‘농식품분야 블록체인 기술활용 현황 및 미래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 농식품 유통 투명성 제고에 적극 활용

국내외 농식품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농식품의 유통 투명성을 제고하는 이력 관리 시스템 등에 선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주관으로 지난 4월 30일 열린 ‘제21회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포럼’에선 ‘농식품분야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미래’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의 발표가 이어졌다.

이날 김용렬 농경연 미래정책연구실장의 ‘농식품분야 블록체인 기술활용 현황 및 미래전망’ 발표에 따르면 글로벌 농기업 카길(Cargill), 루이스 드레퓌스(Lousis Dreyfas) 등은 국제 곡물 거래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전자화, 거래 효율화와 투명화를 추구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슈퍼마켓 체인업체 ‘알버트하인(Albert Heijn)’은 오렌지 주스 생산과정을 추적하는 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영국의 식품표준청은 지난해 소 도축장에서 검사 의무를 준수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국내에선 농식품부의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과 함께 이지팜의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선도거래 이커머스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이 플랫폼은 소비자가 농산물을 선 주문토록 하고 농산물 생산과 재배과정 이력은 블록체인을 통해 위·변조가 불가능하게 저장, 상시 변동하는 농산물의 가격 변동 위험성을 줄이는 모델이다.

 

# 국내 농업분야 블록체인 기술 개발·도입 초기 단계

국내 농업분야에서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술 수준과 도입 현황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의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은 현재 시범 운영중이며, 이지팜의 블록체인 기반 이커머스 플랫폼도 올해 말 출시를 예정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선 농업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블록체인 기술 관련 사업이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미국의 블록체인 기술 경쟁력을 100으로 볼 때 유럽은 96, 일본은 84.8, 중국은 78.9이며 국내는 76.4 정도로 나타나 선진국과 차이를 보였다. 더욱이 국내 농업분야에 적용된 블록체인의 기술 수준은 더욱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연구실장은 “블록체인 관련 기술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초기 단계이고 국가 간 기술격차도 있는 상황”이라며 “개발 초기의 기술을 농업에 곧바로 적용하는 것은 사업 성공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어 만능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