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농산물 늘어나면서 국내 농산물 시장 줄어
수출시장 개척·새 품목 개발 보다 기존 시장 되찾는 게 더 중요
소비처가 있으면 생산량 늘고 영농활동 활발해지다 보면
관련산업 육성 효과

▲ 금석헌 농업회사법인 (주)혜성 대표(왼쪽)와 최태환 팜넷 대표.

[농수축산신문=길경민 기자] 

수입농산물이 늘어나면서 국내 농산물 시장이 줄어들고 있다. 농업생산기반이 그만큼 없어지고, 농업인들의 소득 역시 감소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새 품목을 개발해 이를 만회하려고 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일이다.

금석헌 농업회사법인 (주)혜성 대표와 최태환 팜넷 대표는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입농산물에 빼앗긴 시장을 찾아와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농산물을 원료로 상품을 만드는 기업체의 농산물 수요가 많은 만큼 정부를 비롯해 농업인, 기업체 등이 협력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의 수다 속으로 들어가 본다.

△최태환 대표 = 농업인들의 고령화로 걱정이 많은 게 사실이지만 대체인력이 없다보니 여전히 고령농들이 농업활동의 주체가 될 수밖에 없다. 이들을 영농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해야 하고, 농업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금석헌 대표 = 농업인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농들이 잘할 수 있는 일은 온실, IT(정보기술) 접목 등 첨단시설에 의한 영농활동이 아니라 노지에서 관행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일이다. 첨단온실, 컴퓨터 없이 비닐, 멀칭, 수확기계 등만 가지고 영농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쌀을 비롯해 무, 배추, 마늘, 양파, 감자 등 주요 농작물이 그것이다.

△최태환 대표 = 이를 위해서는 수입농산물에 뺏겼던 시장을 다시 찾아와야 한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주요 농산물의 총량은 변함이 없으나 일정부분 수입농산물로 대체돼 그 만큼의 국내 생산기반이 사라지고 있다. 한때는 주요 농산물의 생산량이 100만톤을 상회했으나 수입농산물이 들어오면서 국내 생산기반이 사라져 농업인들의 일거리가 줄어든 것이다.

△금석헌 대표 = 감자의 경우 한때 100만톤을 생산했으나 지금은 60만톤으로 감소했다. 감소한 40만톤의 감자는 그냥 없어진 게 아니라 수입감자로 대체된 것이다. 수입감자의 주 소비처를 살펴보면 오리온, 농심, 해태 등 감자스넥 제조업체와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업체 등이다. 롯데리아가 2만톤의 감자를 소비하는 등 패스트푸드업체 전체의 소비량은 7만6000톤에 이른다. 제과업체의 감자수요량 10만톤, 여기에 패스트푸드업체까지 더하면 약 30만톤에 이른다. 이들 업체의 원료를 국산으로 대체해야 한다.

△최태환 대표 = 업체들이 원료구매 시 주요 사항으로 꼽는 것은 품질의 균일화와 안정적인 공급, 여기에 가격이다. 가령 감자가 kg당 700원인데 가격형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씨감자, 비료, 인건비, 수확비, 물류비 등이 절반을 차지한다. 이 부분에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금석헌 대표 = 소비처가 있으면 생산량이 늘어나고, 생산량이 늘어나면 농업인들의 영농활동이 활발해지고, 그러다 보면 소비시장에 맞는 육종개발, 수확기계 등 관련 산업까지 육성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버섯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농심이 신라면 스프에 사용하는 건표고 다이스의 양이 500톤에 달한다. 수율을 10%로 볼 때 표고버섯 원물은 5000톤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198.3㎡(60평) 규모의 버섯재배사를 운영하는 농가가 60명이 필요하다. 팔도라면, 오뚜기 등을 포함할 경우 스프용 표고버섯양은 엄청 늘어나고, 버섯농가들은 더 많이 육성돼야 한다는 결론이다. 물론 스프원료도 100%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최태환 대표 = 새로운 시장을 늘리고, 없던 시장을 개척하는 것 보다는 기존 시장을 되찾는 게 더 수월한 것은 당연하다. 국내 농산물 시장의 시스템을 바꿔야 하고, 수입농산물을 국산으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금석헌 대표 = 스낵, 라면스프, 김치 등 농산물을 원료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만 잡으면 국내 농업은 살 수 있다. 농산물을 요리의 재료로만 보기보다는 스낵류로 전환하면 파급력이 상당하다. 더욱이 대기업이 국산을 원료로 한 제품을 생산, 마케팅을 펼치면 중소기업도 줄줄이 따라올 수밖에 없다.

△최태환 대표 = 수확 이후의 결과만 가지고 정부정책을 발동하는 것은 ‘언발에 오줌누기’ 밖에 안된다. 과잉생산되면 산지폐기하고, 부족하면 수입하는 정책으로는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고, 수입농산물에 국내 시장을 잠식할 수 있도록 기회만 주는 꼴이다. 최소한 주요 농산물이라도 정부가 책임감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

△금석헌 대표 = 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업체 직원의 경우 농가와 계약재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징계를 받는 사례가 다반사인 현실에서는 국산으로의 대체가 쉽지 않다. 또 하나는 대기업과 농업인 간 직접 계약재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생산 시스템 개선이 어렵고, 계절 변수에 따른 대응책 미흡, 신뢰부족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 생산자와 기업, 정부가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