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 부경대 교수
MSC가 없는 어업 존속 어려워
국내 전문가도 우리나라 어업여건과 맞는 MSC규격 반영 위한 목소리 내야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MSC(해양관리협의회) 인증은 이미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제 중국, 일본 등에서도 인증이 확산세에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전문가들도 MSC의 규격개정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합니다.”

영남 씨그랜트 사업을 통해 기장물산의 해조류 MSC인증을 컨설팅한 김도훈 부경대 교수는 MSC 규격개정 등에 국내 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MSC규격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규격이지만 우리나라의 어업여건과 맞지 않은 점이 많은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의 입장이 MSC규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MSC는 유엔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와도 닿아있는 터라 향후 더욱 빠른 확산이 예상된다”며 “MSC의 초기에는 MSC인증이 판매 시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이었다면 지금은 MSC가 없는 어업이 존속하기 어려워지는 분위기가 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UN SDGs 14조는 대양과 바다, 해양자원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사용을 천명하고 있으며 14조 6번항은 과잉어획능력과 남획, IUU(불법·비보고·비규제)어업에 기여하는 보조금을 철폐하고 이와 유사한 보조금 제도를 신설하지 않는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김 교수는 MSC인증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MSC인증은 어업에 현대적인 경영관리와 지속가능한 자원관리 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어업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다.

“170만톤에 육박하던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100만톤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어가인구는 고령화되고 젊은 인력은 수산업을 기피하고 있습니다. 노후화된 어선의 문제 역시 여전합니다. MSC는 우리 수산업이 처한 이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재도약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 내지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MSC인증으로 수산자원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산업을 둘러싼 경영, 환경, 사회 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킨다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