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천리로 청문회를 통과한 김현수 신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3일 취임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김 장관은 지난 32년간 농식품부에 근무하며 굵직굵직한 농정 현안을 헤쳐나갔던 경험과 연륜이 풍부한 만큼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농정개혁과 농가소득안정방안 등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업계는 당장 눈앞에 놓여있는 공익형직불제 도입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WTO(세계무역기구) 개도국 이슈’가 불거지면서 공익형직불제 도입은 더 이상 미루면 안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다행히 내년 예산안에, 부족하지만, 공익형직불제 관련 예산이 반영된 만큼 관련 제도 도입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농축산물 수급안정 역시 농식품부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올들어 마늘, 양파, 무, 배추, 돼지고기, 닭고기 등 대다수 품목들의 공급과잉사태로 농축산업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장관은 청문회에서 생산자 중심의 근본적인 수급안정대책을 강조하고 품목별 조직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동안 농식품부가 농축산물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품목별 조직화에 달렸다는 현실인식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를 실천할 여건조성과 의지가 부족했다고 할 것이다.

이제라도 수급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이 추진되지 않는다면 매년 반복되는 농축산물 가격 급등락 사태를 막기 어려울 것이다. 
 

농업계는 이와 함께 업계 종사자와 기관, 단체, 산업체 등과의 긴밀한 소통을 주문하고 있다. 김 장관은 장관으로 지명받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업계와의 소통이 부재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1차 산업의 특성상 업계와의 지속적인 의견 교류와 ‘스킨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없이 많은 정책이 현실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농업계와의 끊임없는 소통이 꼭 이뤄져야 한다.

농축산업계가 수용하기 어렵거나, 이해되지 않는 정책이 성공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3기 농식품부 장관인 김 장관에 거는 농업계 요구는 적지 않다.

현 정부 출범으로 기대했던 농정개혁의 성과가 이제부터 본격화돼야 한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농업계와의 격의없는 소통을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 과제들을 단계적으로 이뤄나가기를 재차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