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진 인터넷청과 기획관리부장
원하는 품목 외 농산물은 처리 곤란해질 수도
경매 단점 보완 위해 도입한 정가·수의매매 어떻게 활성화할지 초점 맞춰야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은 전국 농산물 가격의 기준을 제시하는 곳입니다. 이곳에 시장도매인제가 도입될 경우 기준가격 하락뿐만 아니라 중도매인들 간의 담합으로 인해 출하자들이 피해를 보게 돼 시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2004년 인터넷청과에 입사한 후 기획, 마케팅 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 주성진 기획관리부장은 출하선택권 확대 등의 주장은 빛 좋은 개살구와 같다고 표현했다.

유통주체가 늘어 얼핏 보기에는 생산자들이 출하를 할 수 있는 출하처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그들이 원하는 품위의 농산물만 구입하고 나머지 부분은 처리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뜻에서다.

주 부장은 “가락시장에서 시장도매인제를 주장하는 측은 거상들로 대부분의 중도매인은 시장도매인제를 반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장도매인제가 도입되면 거상들이 나머지 중도매인들을 주무르는 과거 용산시장과 같은 체계로 회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수의 중도매인들이 참여해 경쟁해야만 취급물량이 증가하고 높은 경락가격이 형성된다고 하지만 응찰기를 통해 우수 품위의 상품가격을 설정하고 취급하는 중도매인들은 대부분 거상들이기 때문이다.

그는 “강서시장의 경매가격이 낮게 형성되는 이유는 경매제 시장의 중도매인들이 굳이 경매를 통해 농산물을 구입할 필요 없이 납품처에서 원할 시 시장도매인에게 농산물을 구매하기 때문”이라며 “시장도매인제가 첫 번째로 도입돼 10년이 훨씬 넘게 운영됐지만 아직까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가락시장 도입은 있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주 부장은 “경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한 정가·수의매매를 어떻게 활성화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경매제에 단점이 있다고 아직까지 명확하게 검증되지 않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출하자, 농민단체들이 지속적으로 반대하는 시장도매인제를 국회의원, 개설자가 나서서 도입하려는 게 말이 되냐”며 “가락시장이 위기를 겪게 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업인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