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최기수 발행인] 

몇 년 전부터 화두가 돼 온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한 산업 고도화에만 그치는 게 아니다. 우리 일상을 완전히 다르게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올해도 최대 화두가 아닐 수 없다.
 

4차 산업혁명은 이미 고리타분한 얘기가 될지 모르지만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로봇, 센서, 빅 데이터 등 미래첨단기술이 융복합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드는 일이다. 그 결과물은 상상을 뛰어 넘을 수 있고, 세상을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제조업부문만이 아니라 농업을 필두로 하는 1차 산업 역시 4차 산업혁명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 4차 산업혁명에서 탈락하면 산업 자체의 입지가 위축되거나, 설자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 농업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 하면 스마트팜이 거론된다.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팜이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스마트팜은 4차 산업혁명의 결과물이다. 스마트팜도 정확한 의미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국내 농업에 보급돼 온, 그리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팜은 자동화 개념에 국한된다. 4차 산업혁명시대 스마트팜은 자동화 개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AI, IoT, 로봇, 센서 등 첨단기술에 빅 데이터가 접목돼 농업생산을 최적화한 농장을 말한다. 빅 데이터가 접목이 돼야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정한 스마트팜이 된다는 의미이다.
 

스마트팜을 구성하는 AI, IoT, 로봇, 센서기술 등은 농업분야에서 개발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첨단기술분야에서 개발할 과제이고, 이미 많이 개발돼 있다. 개발된 AI, IoT, 로봇, 센서기술 등을 농업생산에 맞게 융복합해 스마트팜을 구축하면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빅 데이터가 빠졌는데, 빅 데이터는 농업분야에서 확보해야 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AI나 IoT, 로봇, 센서를 개발하는 사람은 농업을 모른다. 농업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 농업을 가장 잘 알기 때문이다.
 

농업분야 빅 데이터는 종자 선별·보관·파종에서부터 재배, 수분, 수확, 저장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확보돼야 한다. 이 가운데 어느 한 부문이라도 빠지면 핀이 빠진 체인과 같아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지금은 스마트팜이 주인공이 되고 있지만, 빅 데이터는 노지작물에 대해서도 확보를 해야 한다. 미국은 이미 옥수수 재배 등에 빅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성을 매년 향상시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스마트팜은 물론이고 노지재배에서도 빅 데이터가 핵심이지만, 국내 농업분야의 빅 데이터 확보수준은 아직 걸음마도 뛰지 못하는 단계에 그치고 있는 듯하다. 반대로 1990년 초 국내에 벤로형 유리온실을 보급한 네덜란드는 빅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으로 국내 농업분야에서도 이미 데이터를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빅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우리 농업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도 기술 종속국이 될 수밖에 없다.     
 

빅 데이터 없는 스마트팜은 허구나 다름없다. AI나 IoT, 로봇, 센서기술을 융복합한 유리온실을 지으면 뭐하나? 빅 데이터가 없는 유리온실은 자동화에 그칠 뿐이다. 빅 데이터가 있어야 농업생산을 최적화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늦지 않았다. 지금부터라도 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정책적인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