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지한 여파에 코로나19 직격타

[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사육제한 시행 대비
냉동재고량 늘리고
종오리 후보군 추가 입식이
수급 불균형 야기

식당 소비 대부분인
오리고기 특성상
외식 소비급감에 피해 고스란히

 

글 싣는 순서

(상) 오리산업만 ‘나홀로’ 피해
(하) 오리산업 위한 특단대책 필요해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오리사육제한이 올해 2월까지 4개월간 실시됐다.

3년간 시행된 오리 사육제한으로 생산비에 밑지며 오리를 생산해 온 오리업체들은 코로나 19로 기지개 한번 못 펴고 더욱 깊은 수렁에 빠졌다. 

외식시장의 대부분이 수입육으로 이뤄져 있는 대부분의 축종은 가정소비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때 아닌 특수를 누렸지만 외식수요로 생오리의 대부분을 판매하던 오리산업은 ‘나홀로’ 피해를 입은 축종이 돼 버린 것이다.

 

# 사육제한에 코로나까지 ‘충격’

2017년부터 시행중인 오리농가 사육제한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수급불균형 등 오리업계의 피해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2017년 첫 사육제한 시행 이후 2018년 상반기 오리고기 가격은 대폭 상승한 이후 최근까지 생산비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계열업체들은 사육제한 시행을 대비한 사육농가 확보 경쟁이 발생하면서 사육비가 대폭 인상됐고 사육제한 기간 중 고정경비가 추가 지출되는 등 2차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오리 계열업체의 한 관계자는 “사육제한 시행에 대비해 업체별로 냉동재고량을 늘리고 종오리 후보군을 추가로 입식한 것이 오히려 수급 불균형을 야기 시켰다”며 “오리고기 소비량은 받쳐주지 못하고 공급 과잉 현상으로 이어져 그때부터 지금까지 가격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의 이같은 어려움은 오리 냉동재고량으로 여실히 증명된다. 현재 오리 냉동재고량은 역대 최대 수준이며 최근 공급 과잉 현상에 따라 계열업체에서는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저주령 산란종오리를 조기 도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 냉동재고량은 지난 3월 기준 632만 마리로 오리 사육제한 이전과 비교하면 약 2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덤핑판매가 심화되고 있다. 훈제오리 600g이 소비자가격 5000원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원가 이하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계열업체들은 이에 따라 종오리를 조기도태하는 등 전사적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어려움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코로나19로, 식당소비 뚝…오리 직격타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면서 국내산 축산물은 수혜 아닌 수혜를 입었다. 외출을 자제하고 외식을 줄인 소비자들은 가정소비를 늘리면서 온라인 구매, 즉 비대면 구매를 늘리기 시작했다.

한우, 한돈, 닭고기 국산 축산물들의 판매가 늘어났다. 수입육이 대부분인 외식업계의 침체로 수입육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국내산 축산물은 호황을 누리는 기이한 현상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 와중에 오리업계만 고스란히 코로나 피해를 입었다.

식당에서의 소비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리고기의 특성상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오리고기 판매량이 급감한 것이다. 오리고기 식당 대부분의 소비 급감에 따라 업체에 따라서는 대리점 주문량이 발생 이전 대비 80% 이상 급감한 곳도 있었다.

계열업체 A사의 한 관계자는 “전국 50개 대리점 주문량이 일일 6000마리에서 1200마리로 80% 감소했다”며 “서울 소재 한 오리전문 식당은 주말판매액이 일일 200만원에서 44만원으로 78% 감소한 곳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