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코로나19는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 WHO(세계보건기구)의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선언 이후 전 세계는 사회, 경제 등 모든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각계 전문가들은 앞으로는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렇다면 수산업계는 어떨까? 코로나19는 기초체력이 약한 수산업계에 더욱 심각한 타격을 입혔고, 수많은 과제를 던져줬다. 가장 먼저 지적되는 것이 비대면(언택트) 소비확대에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이 정체 내지 감소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농식품의 온라인거래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으며, 특히 쿠팡, 마켓컬리 등의 식품판매는 급격한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수산업계는 이같은 온라인거래에 대응하지 못했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광어, 우럭, 돔, 멍게 등 양식생물들의 소비가 급감, 어업인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두 번째 문제는 인력이다. 연근해어업과 양식어업 모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다.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에 기대왔던 수산업은 코로나19에 따른 각국의 출입국제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코로나19가 수산업계에 던진 과제는 수산업계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이다. 대한민국이 성장에 성장을 거듭하며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는 동안 수산업계는 이같은 변화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했다. 2000년대 초반에도 낙후됐던 산업은 더욱 낙후되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수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을 피할 수가 없다. 
 

정부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산업 대책은 단순히 어업인의 경영안정에만 초점이 맞춰져서는 안된다. 수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지 않고서는 어떤 대책도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